코스피

2,501.24

  • 20.61
  • 0.83%
코스닥

677.01

  • 3.66
  • 0.54%
1/3

[집코노미] 박경리 살던 정릉골에 타운하우스 들어선다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서울의 대표적인 달동네인 정릉동 정릉골구역 재개발사업이 본궤도에 오른다. 서울 도심에 흔치 않은 초대형 타운하우스촌으로 탈바꿈한다. 개발제한구역에서 해제된 지 17년 만이다.

13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정릉골구역조합이 지난달 서울시의 건축심의를 통과했다. 정릉3동 757 일대 203만㎡ 땅에 최고 5층 규모로 1400가구의 새집을 짓는 사업이다.

일대는 1960년대 외지인들이 모여 무허가 판자촌을 이루고 거주했다. 일부 주민들은 국·공유지를 불하받아 집을 짓고 살았다. 소설 ‘토지’의 소설가 박경리가 생전 거주하던 곳이기도 하다. 하지만 열악한 주거환경에 대한 개선 요구가 끊임없이 이어지면서 2003년 개발제한구역에서 해제됐다. 2012년 정비구역 지정, 2017년 조합설립을 마쳤다.

북한산자락 자연경관지구에 속해있어 용적률을 96.73%로 제한받는다. 조합은 이 때문에 아파트 대신 타운하우스 단지를 계획했다. 천재진 정릉골구역 조합장은 “경관지구인 데다 수림대가 많아 개발을 섬세히 진행해야 한다”며 “도심 속 전원생활을 누릴 수 있는 서울시 내 유일무이한 고급 주거지로 탈바꿈할 것”이라고 말했다.

개발이 가속하면서 매수 문의도 늘고 있다. 정릉동 H공인 관계자는 “지난해 연말 소위원회를 통과한 이후부터 문의가 늘기 시작해 대형 면적대를 제외하면 물건이 거의 없는 편”이라며 “매수자의 대부분은 실거주를 목적으로 하는 중장년층”이라고 말했다.

조합은 전체 가구의 60% 이상에 테라스를 설치할 계획이다. 복층형 주택 등 공간 활용도가 높은 주택형도 설계했다. 전용면적 79~211㎡로 중형 면적대부터 대형까지 갖춘다.

타운하우스는 단독주택에 공동주택의 장점을 보완한 개념이다. 독립된 주거공간을 가지면서도 대단지로 오밀조밀 모여 있어 아파트처럼 다양한 주거·복리시설을 공유할 수 있는 게 장점이다. 단독주택과 비교하면 관리가 편하다는 게 특징이다. 입주자들이 협의해 주택관리업체를 선정하고 관리를 맡기는 게 일반적이다. 단독주택의 취약점인 보안에 대한 우려도 적다. 입주민 편의시설은 아파트에 버금간다. 그러면서도 아파트보다 쾌적한 저밀도 단지여서 인기가 높다.

과거엔 주로 수도권 외곽이나 택지지구의 연립용지에 들어섰다. 땅값이 비싼 서울에서 저밀도 주거지역을 조성하긴 어렵기 대문이다. 서울 정비사업이 타운하우스로 개발되는 건 이례적이다. 그동안 개발된 타운하우스는 고급 주거지로 자리잡았다. 한남동 ‘나인원한남’ 등이 대표적이다.

정릉골 개발이 탄력을 받으면서 성북 일대 정비사업들의 속도도 빨라질 전망이다. 길음뉴타운과 장위뉴타운을 축으로 성북1구역과 성북2구역, 신월곡1구역 등이 사업을 진행 중이다. ‘미아리 텍사스’로 불리던 신월곡1구역은 최근 조합설립 11년 만에 환경영향평가 심의를 통과했다.

정릉골구역조합은 올해 사업시행계획 인가를 받아 내년 초 시공사를 선정할 계획이다. 최황수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저밀도 개발이지만 고급화를 통해 상품 가치를 높이는 방식을 택했다”며 “주변 환경과 연계한 고밀도 개발과는 또 다른 사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학렬 스마트튜브 부동산조사연구소장은 “기존의 열악한 이미지를 바꾸려면 주변에서 지속적인 개발이 진행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전형진/최다은 기자 withmold@hankyung.com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