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001/AA.21523083.1.jpg)
‘우리들병원 특혜 대출 의혹’ 수사를 지휘하는 서울중앙지검 1차장에는 이종근 법무부 검찰개혁 추진지원단 부단장(사법연수원 28기)과 구자현 평택지청장(29기) 등이 물망에 오른다. 이 부단장은 검찰 직접수사 부서 폐지 등 직제개편 아이디어를 가장 먼저 제시한 인물로 알려졌고, 구 지청장은 박상기 전 법무부 장관 시절 법무검찰개혁단장을 지냈다. ‘청와대 울산시장 선거개입 의혹’ 수사를 지휘하는 서울중앙지검 2차장에는 ‘공안통’ 진재선 법무부 검찰과장(30기)이 거론된다. 진 과장은 이성윤 지검장이 법무부 검찰국장으로 있을 때 그 휘하에서 검찰 고위직 ‘물갈이’ 인사의 실무 작업을 맡았다. 삼성바이오로직스 의혹과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의혹을 수사하는 서울중앙지검 3차장에는 이 지검장의 핵심 측근이자 ‘특수통’으로 분류되는 김형근 성남지청 차장(29기)이 유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외에도 임은정 울산지검 부장검사(30기), 전준철 수원지검 부장검사(31기), 조두현 법무부 장관 정책보좌관(33기) 등도 영전할 것이란 얘기가 나온다. 한 검사는 “검찰 내부에서 현 정부 입장만을 대변하는 ‘법무부 5인방’으로 평가받는 김오수 차관, 이성윤 검사장, 진재선 과장, 이종근 부단장, 조두현 법무부 장관 정책보좌관 등은 인사후에도 여전히 득세할 것”이라며 “진 과장과 이 부단장은 서울대 운동권 출신이라 청와대측에서 특별히 선호하는 인물”이라고 평가했다.
한편 인사를 앞두고 청와대 민정수석실에서 차장검사 승진 대상자들을 상대로 ‘전화 면접’을 진행하며 ‘이석기 사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묻는 등 사상 검증을 해 논란이 일고 있다. 청와대로부터 인사 검증을 받은 검사들 사이에선 “이념 성향을 인사 잣대로 삼으려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법조계 관계자는 "대한민국은 사상의 자유가 보장되는 나라"라며 "검사에 대해 전문성을 평가하는 것이 아닌 사상을 평가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말했다.
이인혁/안대규 기자 twopeopl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