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6일 발표된 정부의 고강도 부동산 대책이 국민 모두에게 혼돈을 주고 있다. 이번 대책에 대해 “국민 재산권이 침해됐다”며 헌법 소원까지 제기된 상태다. 전문가들은 당분간 부동산 거래 위축은 불가피하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향후 부동산 가격 안정 여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부동산 대책 이후 그동안 가파르게 상승한 아파트의 가격이 향후 하락할 것으로 예상하면 지금이라도 매도하는 것이 맞다. 그러나 자산가들은 대부분 관망하고 있다. 보유 중인 주택들이 대부분 강남권에 소재하고 있고 향후 자본차익을 기대하고 있는 물건들이기 때문이다. 또 강남권의 아파트 재건축 속도가 지연되면서 공급은 더욱 줄어들 전망인 것도 한 가지 이유다. 이에 따라 강남권 부동산 시장은 더 큰 혼란 속에 빠질 수 있다.
부동산이 아닌 다른 투자자산으로 눈을 돌려봐도 불확실하기는 마찬가지다. 현재 글로벌 증시의 가장 큰 변수는 미국과 중국 간 무역전쟁이다. 이는 단시간 내 해결될 수 없는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내년도 올해와 마찬가지로 미·중 무역합의 양상에 따라 글로벌 증시가 움직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대비해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는 지난 7월 기준금리인 연방기금금리(FFR)를 0.25%포인트 내렸다. 이후 연준은 10월까지 세 차례 연속으로 금리를 내렸다.
안전자산인 예금으로 눈을 돌려도 상황은 여전히 어렵다. 지난 11월 29일 한국은행은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연 1.25%로 동결하기로 결정했다. 7월과 10월 각각 0.25%포인트씩 인하돼 현재 사상 최저치인 1.25%를 유지하고 있다. 이렇듯 기준금리가 낮다 보니 시중은행의 예금금리도 연 1%대다. 세금을 제외하면 시중 물가도 따라가지 못하는 수준이다.
내년에는 글로벌 경제의 저성장 기조가 지속되는 만큼 변동성을 감안한 투자전략이 필요하다. 올해 국내 주식의 경우 수익률은 낮고 변동성은 높은 흐름을 보였다. 반면 선진국 주식은 수익률이 높으면서 변동성이 낮았다. 그만큼 내년에는 해외 분산 투자가 필요하다. 일본과 한국을 제외한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기업이나, 인공지능(AI), 5G(5세대) 통신 등 기술 진보로 이익을 얻거나 발전 가능성이 높은 글로벌 기업이 주요 투자대상이 될 수 있다.
채권투자는 금리의 방향성보다는 금리 수준을 우선적으로 고려한 투자전략이 유효해 보인다. 아시아 주요국의 우량회사채나 이머징 국가 및 기업이 발행한 채권에 투자하는 전략이 방법이 될 수 있다.
정성진 국민은행 WM스타자문단 양재PB센터 PB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