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위 이어 간담회 연 민주당
![](https://img.hankyung.com/photo/201912/AA.21153467.1.jpg)
검찰 공정수사촉구특별위원회를 발족한 민주당은 이날 검찰과 경찰 고위간부를 불러 ‘공정수사 촉구 간담회’를 열기로 했지만 검·경의 불참으로 체면을 구기게 됐다. 민주당은 강남일 대검찰청 차장검사와 임호선 경찰청 차장을 불러 청와대 하명 수사 및 선거 개입 의혹이 불거진 ‘울산 사건’에 대해 사실을 파악하기로 했다. 하지만 검찰과 경찰 모두 수사 공정성을 이유로 참석을 거부했다.
정치권에선 민주당이 애초 수사 기관 관계자와 사건 당사자들을 부르려 한 것이 ‘무리수’였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당과 바른미래당이 요청한 국정조사는 거부하면서 독자적으로 사실관계 파악에 나선다는 게 ‘검찰 압박’ 목적밖에 없다는 얘기다.
야권 관계자는 “국회의 고유 권한인 국정조사를 하면 되는데, 정치적 오해를 자초하는 간담회를 연 것은 납득할 수 없다”고 말했다. 헌법 61조는 ‘국회는 국정을 감사하거나 특정한 국정사안에 대해 조사할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 과거 국회는 국정원 댓글의혹 사건, 최순실 국정농단 의혹 등에 대해 국정조사를 했다. 하지만 민주당은 “국정조사를 이야기하는 것은 자꾸 이 판을 키워가자는 것”(강병원 민주당 의원)이라며 반대하고 있다.
한국당 “靑, 거짓말 의도 뭐냐”
한국당은 청와대를 향해 공세를 펼쳤다. 김성원 한국당 대변인은 논평에서 “청와대는 (송병기 울산시 경제부시장을) ‘캠핑장에서 우연히 만나 알게 된’ ‘정당 소속은 아닌’ 인물이라고 그 의미를 축소했는데 알고 보니 그는 민주당 후보 선거캠프 핵심 관계자였다”며 “청와대 거짓 브리핑의 속내와 의도는 무엇이었냐”고 되물었다.
한국당 친문(친문재인) 게이트 진상조사위원장인 곽상도 의원은 “송철호 울산시장과 송 부시장이 청와대뿐 아니라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 김영춘 해양수산부 장관 등을 만나 선거공약을 상의했다는 보도도 있다”며 “사실이라면 공직선거법 위반”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청와대 및 정부 부처에서 선거공약을 협의한 부분은 추가 고발을 법리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한국당은 전날 조국 전 법무부 장관, 백원우 전 민정비서관 등 11명을 검찰에 고발했다.
조미현 기자 mwis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