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1911/AA.20920622.1.jpg)
사우디아라비아 여행을 간다니 의아해하는 반응이 많았다. 사우디 왕국의 실세인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는 얼마 전 ‘비전 2030’을 발표했다. 석유에만 의존해오던 왕국의 경제 구조를 2030년까지 다각화하겠다는 계획이다. 그중 하나가 관광산업이다. 지난 9월까지만 해도 관광 비자를 받으려면 직접 대사관에 방문해야 했지만 이젠 인터넷 클릭 한 번으로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사우디를 방문한 외국인 여성은 온 몸을 가리는 이슬람식 ‘아바야’를 입지 않아도 된다. 사우디 국영기업 아람코(ARAMCO)도 관광산업 개발에 동참했다. 아람코 산하 사회문화재단인 이드라(Ithra·킹압둘아지즈세계문화센터)는 지난해부터 매년 10월 ‘탄윈’이란 축제를 연다. 고등학생 및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강연과 워크숍, 전시회와 여러 체험 이벤트가 마련됐다. 지난달 10~26일 사우디아라비아 동부 해안에 있는 제3의 도시 담맘에서 ‘놀이(play)’를 주제로 열린 탄윈을 방문했다.
사우디 최초 원유 채굴지 ‘담맘’
담맘 공항에 내려 차로 30~40분쯤 달리자 모래벌판 위에 거대한 바위 5개가 연결된 모양의 이드라 건물이 보였다. 세계 공모를 거쳐 선정된 노르웨이의 한 건축회사에서 지은 이 건물은 석유를 품고 있는 암석을 상징한다. 이드라가 사우디의 미래이자 차세대 에너지를 발굴할 인재들의 요람이 되겠다는 의미다. 독특한 외관으로 지난해 영국 타임지가 선정한 ‘세계에서 방문해야 할 100곳’에 들었다. 사우디 관광청에서 정한 랜드마크 8곳 중 하나기도 하다. 저녁 시간이 되면 한낮의 불볕더위를 피해 나들이 나온 가족들로 붐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1911/AA.20920806.1.jpg)
내부로 들어서자 건물 가운데를 관통하는 15m 높이의 나무 조각상이 눈에 띄었다. 담맘은 1938년 사우디에서 원유가 처음으로 발견된 도시다. 아람코 본사도 담맘에 있다. 원유가 처음으로 채굴된 자리를 기념하기 위해 바로 그 자리에 이드라 건물을 짓고 나무 조각상을 세웠다. 나무를 둘러싸고 석유를 상징하는 분수가 뿜어져 나온다. ‘사우디 방문 인증샷’을 찍기 안성맞춤인 곳이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1911/AA.20920554.1.jpg)
가족 모두가 함께 즐길 수 있는 놀이 가득
![](https://img.hankyung.com/photo/201911/AA.20920784.1.jpg)
탄윈에선 놀이를 통해 스스로 창조의 주체가 될 수 있다. ‘ADA’ 인터랙티브 아트 프로그램에 참여하면 헬륨으로 가득 찬 방을 맞닥뜨리게 된다. 석탄이 묻혀진 커다란 지구본 모양의 공을 사방팔방으로 튕겨내면서 방 안에 선과 점을 만들어 직접 작품을 창조해볼 수 있는 방식의 현대 미술이다.
지하로 이동하면 박스가 산더미처럼 쌓여 있는 곳이 있다. 이곳에서 박스로 갑옷과 무기를 만들어 게임 주인공이 돼 보는 이벤트가 있다. 아이들로 늘 가득 차 있다.
그 밖에 아랍의 재즈 문화를 경험하고 악기 연주를 배울 수 있는 워크숍, 직접 연기자가 돼 무대 위에 서는 워크숍 등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색다른 놀이를 즐길 수 있다. 이슬람 전통 놀이를 체험하고 그것을 현대식 보드 게임으로 바꾸는 프로젝트에도 참여할 수 있다.
1년 내내 행사 가득
축제 프로그램 중간에 이드라 건물을 둘러보는 재미도 쏠쏠하다. 이드라는 공연과 영화, 책 등 각종 문화를 즐길 수 있는 ‘종합 놀이터’다. 보수적인 이슬람 문화 특성상 사우디는 공연산업이 발달하지 않아 극장과 영화관이 많지 않지만 이드라엔 있다. 총 2500여 권의 영어·아랍어 책을 읽을 수 있는 도서관도 있다. 국내 작가 한강의 <채식주의자>가 아랍어로 번역된 책도 찾아볼 수 있다. 종종 유명 작가를 초청해 사인회도 한다니 참고할 만하다.
지하에는 이슬람 예술과 현대 미술을 아우르는 박물관이 있는데 꼭 들러볼 만하다. 총 4개의 전시관이 있다. ‘푸눈 전시관’에선 중동지역 현대 미술 작품들을 만나볼 수 있다. ‘아얄 전시관’은 사우디 각 지역 특유의 문화 유산을 전시하고 있다. ‘쿠누즈 전시관’은 7세기 이슬람교 창시 때부터 전해져 내려오는 이슬람의 이국적인 문화 유산을 볼 수 있다. 마지막 ‘레랏 전시관’은 아라비아 반도의 자연 환경과 야생 생물, 지질 변화 등을 3차원으로 경험할 수 있는 독특한 전시가 있다.
이드라에선 매년 10월 열리는 탄윈 외에도 한 해 내내 다채로운 행사가 마련돼 있다.
담맘(사우디아라비아)=글·사진 신연수 기자 sys@hankyung.com
여행 메모
인천에서 담맘으로 가는 직항 비행기는 없다. 두바이를 경유해서 가는 게 일반적이다. 인천에서 두바이까지 약 11시간, 두바이에서 담맘까지 2시간 조금 넘게 걸린다. 사우디 내에선 택시를 이용하는 게 가장 편하다. 고온건조한 기후로 연평균 온도가 32~34도라 한국 여름 날씨를 생각하면 된다. 관광하기 좋은 11~12월은 한국의 초여름 날씨 정도다. 여성은 민소매, 반바지 등의 차림은 피하는 게 좋다. 비상용으로 긴 카디건 등을 지참하는 것을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