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1910/AA.20797706.1.jpg)
이런 공유주방이 하나둘 생겨나며 본격적인 경쟁을 벌이기 시작했다. 올 들어서만 10여 개 브랜드가 생겼다. 단순 임대업에서 벗어나 정보통신기술(ICT), 창업 컨설팅 등과 결합하거나 제조·유통에 특화된 브랜드도 등장했다.
기술과 자본의 경쟁
국내 최초의 공유주방은 ‘위쿡’이다. 1개의 주방을 여러 사람이 동시에 사용할 수 있고, 제조한 제품을 유통 판매까지 가능한 주방으로 첫 허가를 받았다. 위쿡은 벌써 사직점 등 공유주방을 8개로 늘렸다. 연말까지 12개를 낼 계획이다. 사직점과 같은 제조유통형 공유주방 3개, 소비자들이 직접 와서 먹을 수 있는 식당형 5개, 배달 전문은 4개를 목표로 잡았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1910/AA.20797725.1.jpg)
공유주방 1번가도 개발자 12명이 2년간 개발한 ‘ICT 기반의 토털 케어 시스템’을 내세우고 있다. 매장 내 중앙관제센터가 있어 주문 접수와 배달대행 접수, 한 번에 최대 5건의 배달 주문을 처리하는 ‘묶음배달 시스템’도 도입했다.
최영 공유주방 1번가 대표는 “직접 개발한 코드를 입점한 점주들에게 무상으로 제공, 빅데이터 경영을 공유해 창업 실패를 최소화하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공유주방 1번가는 올해 수원점, 홍대점, 구리점, 서초점, 석촌점 등 5개 지점을 낸 뒤 내년 해외 진출을 추진하고 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1910/AA.20798792.4.jpg)
외식업 침체인데 배달 시장만 성장
이 밖에 개러지키친 키친42 먼슬리키친 영영키친 키친유니온 키친엑스 등 다양한 공유주방 브랜드가 잇따라 등장했다. 외식업 창업을 꿈꾸는 사람들은 선택이 가능해졌다. 한 공유주방 입점 점주는 “월 임차료나 초기 입주 비용뿐만 아니라 주문 내역과 외식 트렌드까지 분석해주는 업체가 등장하면서 서비스를 비교해 입점하는 창업자가 늘었다”고 말했다.
이처럼 공유주방이 성장하는 건 낮은 창업 비용과 높은 수익성 때문이다. 일반 창업 때 투자금 6000만원에 영업이익률 4% 정도를 가정하면, 공유주방은 비슷한 조건에서 1000만~2000만원대의 투자금으로 평균 14% 안팎의 이익률을 낼 수 있다. 인건비도 적게 든다. 한 공간에 여러 개의 주방을 공유하거나, 하나의 주방을 여러 명이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1~3명 정도로도 운영이 가능하다.
성장 가능성이 높다는 인식이 확산되자 투자금도 몰리고 있다. 우버 창업자 트래비스 캘러닉이 만든 공유주방 ‘클라우드키친’은 지난 6월 토종 공유주방 브랜드 심플키친을 약 100억원에 인수했다. 현재 10여 개 점포를 운영 중이다. 고스트키친도 올 들어 약 124억원을 투자받았다.
김보라 기자 destinyb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