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501.24

  • 20.61
  • 0.83%
코스닥

677.01

  • 3.66
  • 0.54%
1/3

연예 마켓+ㅣ자체 콘텐츠 제작하는 플랫폼 vs 플랫폼 만드는 방송사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온라인 콘텐츠 전쟁이 더욱 심화되고 있다.

SK텔레콤의 옥수수와 지상파 3사의 푹(POOQ)을 통합한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플랫폼(OTT) 웨이브가 지난 18일 출범했다. 웨이브의 서비스 첫날 JTBC와 CJ ENM은 "티빙(TVING)을 기반으로 한 통합 OTT 플랫폼을 내년 초까지 론칭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영화와 케이블채널을 겸비한 세계적인 콘텐츠 공룡 디즈니가 독자 OTT 서비스 디즈니플러스를 론칭한 가운데 한국에서도 전통적인 영상 콘텐츠 제작사로 꼽혔던 방송사들이 각각의 플랫폼을 만들겠다고 나선 것.

봉준호 감독의 영화 '옥자'를 시작으로 '킹덤', '좋아하면 울리는' 등 한국 기반 오리지널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선보이며 글로벌 OTT 선두주자 넷플릭스가 빠르게 가입자수를 확대하는 가운데 토종 OTT들은 실시간 방송 스트리밍을 중심으로 이미 대중적으로 익숙한 인기 콘텐츠들을 선보일 것으로 알려졌다.

웨이브는 출범식 당시 올해 유료가입자 목표로 100만 명, 2023년까지 500만 명을 모으겠다고 밝혔다. 넷플릭스뿐 아니라 곧 등장할 디즈니, 애플 등 글로벌 OTT에 맞서 국내 OTT 시장에서 주도권을 가지고, 동남아·미국·유럽 등 해외시장으로 연착륙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JTBC와 CJ ENM의 협력 역시 급변하고 있는 글로벌 시장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적 선택이다. 콘텐츠의 기획-제작 역량을 끌어올리고, 잘 만들어진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서비스할 수 있는 타깃 별 최적의 플랫폼을 확보해야 글로벌 시장에서 우위를 차지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것.

반면 이미 자체 온라인 플랫폼을 겸비한 포털들은 자체 콘텐츠 제작에 눈을 돌리고 있다. 웹툰과 웹소설 등을 통해 콘텐츠 IP까지 확보한 카카오, 네이버 등 포털이 온라인을 타깃으로 한 웹드라마, 웹 예능을 넘어서 드라마, 영화까지 제작하겠다는 의지를 숨기지 않고 있다.

올해 초부터 BH엔터테인먼트, 매니지먼트숲, 제이와이드컴퍼니 등 배우 소속사들을 대거 인수하며 몸집 불리기에 나선 카카오M은 이번달 영화제작사 월광, 사나이픽쳐스까지 인수했다.

월광은 '군도 : 민란의 시대', '공작' 등을 만든 윤종빈 감독과 프로듀서 출신 국수란 대표가 이끄는 제작사다. '검사외전', '보안관', '돈' 등의 히트작을 만들어냈다. 한재덕 대표가 있는 사나이픽쳐스는 '신세계', '무뢰한', '아수라' 등 개성있는 작품을 제작하며 입지를 다져왔다.

카카오M 측은 "한류스타 배우 군단과 방송·디지털 콘텐츠 제작 경험을 갖춘 상태에서 월광, 사나이 픽쳐스 인수로 영화 제작 노하우까지 보유하게 됐다"며 "각사의 강점을 기반으로 플랫폼과 장르를 넘어서는 과감한 시도를 통해, 색다른 카카오 M만의 콘텐츠를 선보일 것"이라는 포부를 밝혔다.

또 "이전까지 이런 사례가 없었던 만큼 새로운 방식의 사업 모델이 되지 않을까 싶다"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네이버는 자회사 네이버 웹툰을 통해 스튜디오N을 설립하고, CJ ENM 영화사업부문 한국영화사업본부장을 역임했던 권미경 대표를 수장으로 데려왔다.

앞서 '연플리'를 만든 플레이리스트를 설립해 웹 드라마를 선보이고, 한류 아이돌 스타를 내세운 브이앱 서비스로 빠르게 동영상 서비스를 확장했던 네이버는 스튜디오N을 통해 자체IP사업을 확장시키고 있다.

현재 방영 중인 tvN 금요드라마 '쌉니다 천리마마트', OCN 주말드라마 '타인은 지옥이다' 등 동명의 네이버 웹툰을 원작으로 한 드라마 모두 스튜디오N을 통해 제작됐다.

급변하는 사업의 구조 속에서도 가장 중요한 건 결국 '웰메이드 콘텐츠'라는게 관계자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더욱이 플랫폼에 상관없이 좋은 콘텐츠를 많은 사람에게 선보이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분위기다.

푹과의 관계를 고려해 몇 년 전까지 넷플릭스에 콘텐츠를 제공하지 않았던 지상파들이 올해부터 MBC '봄날'과 '신입사관 구해령', SBS 금토드라마 '배가본드', KBS 2TV 수목드라마 '동백꽃 필무렵' 등 각 사의 기대작들을 판매하게 된 배경에도 "양질의 콘텐츠를 더 많은 사람들에게 알리겠다"는 내부적인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한 관계자는 "플랫폼과 콘텐츠 모두 중요성은 이제 모두가 인정하고 있다. 플랫폼사와 콘텐츠제작사가 각자의 방식으로 사업을 개발하는 게 지금의 국내 미디어 산업이 직면한 상황"이라며 "콘텐츠와 플랫폼이 결합해 어떤 방식으로 시너지를 낼 수 있을지 고민하는게 앞으로의 관건이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김소연 한경닷컴 기자 sue123@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info@hankyung.com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