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682.52

  • 46.00
  • 1.74%
코스닥

844.72

  • 4.74
  • 0.56%
1/2

'장진호 전투 영웅' 등 참전용사 33명 한국 온다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장진호 전투 영웅' 등 참전용사 33명 한국 온다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국가보훈처는 미국, 터키의 6·25 참전용사 33명과 가족 등 77명이 26일부터 5박6일 일정으로 한국을 방문한다고 25일 밝혔다. 참전용사 중에는 장진호 전투에 참여한 밀턴 워커 씨(89), 헨리 셰이퍼 씨(88)와 흥남철수작전에 투입된 웨인 스트렁크 씨(86) 등이 포함됐다.

장진호전투는 미군 전쟁사에서 가장 치열한 전투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1950년 11월 26일부터 12월 11일까지 미군 제1해병사단 1만5000여 명이 함경남도 장진호 부근에서 중공군 7개 사단 12만 명의 포위망을 뚫고 함흥 지역으로 철수하는 과정에서 4500여 명이 전사하고 7500여 명이 동상에 걸렸다. 흥남철수작전은 1950년 12월 중공군의 개입으로 미군과 한국군이 함경남도 흥남항에서 ‘메러디스 빅토리호’에 피란민을 태우고 철수한 작전이다. 이 덕분에 문재인 대통령의 부모를 포함한 10만여 명의 피란민이 무사히 흥남항을 빠져나올 수 있었다.

장진호전투에 참여했던 워커 씨는 “20만 명에 달하는 중공군은 공격하기 전 호루라기와 나팔을 불어댔는데 정말 소름끼치는 소리였다”며 “우리 병력의 60~70%는 적군과의 교전과 극심한 추위로 인해 대부분 사망했다”고 회상했다. 같은 전투에서 총에 맞아 한쪽 팔과 다리 등을 잃은 셰이퍼 씨는 “대한민국을 위해 싸웠다는 사실에 항상 큰 자긍심을 느낀다”고 방한 소감을 전했다. 미 제7사단 소속으로 참전한 레이먼드 크리스먼 상병의 유족 샐리 슈켈 씨는 “한국이 이렇게 눈부시게 발전할 수 있게 된 바탕에 참전용사들의 뜨거운 열정과 희생이 있었다는 것에 무한한 자부심을 느낀다”고 말했다.

이들은 27일 대한민국무공수훈자회 주관으로 열리는 ‘장진호전투 영웅 추모행사’에 참석하고, 28일에는 비무장지대(DMZ)와 임진각의 안보 현장을 둘러볼 예정이다. 30일 만찬에서는 ‘평화의 사도메달’ 수여식도 열린다.

임락근 기자 rklim@hankyung.com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