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1일물 환매조건부채권(Repo·레포) 금리가 급등한 것은 위험 자산 회피의 전조라는 분석이다. 당분간 안전자산의 비중을 늘릴 필요가 있다는 진단이다.
문홍철 DB금융투자 연구원은 19일 "채권을 담보로 자금을 차입하고 빌려주는 1일물 레포 금리는 16~18일(현지시간) 3일간 비상식적인 수준까지 급등하면서 자금 부족 우려를 높였다"고 했다.
문 연구원은 "미국 자금 시장은 글로벌 유동성의 공급처이고 미세한 변화에도 나비효과를 일으킨다"며 "달러 유동성이 부족하면 달러가 강세 압력을 받고 이는 글로벌 유동성 부족으로 이어져 신흥국 경기와 통화가치가 하락하고 위험자산 등에 부정적으로 작용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미국 단기금리가 오르면서 채권을 매도해야하는 요인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정반대로 봐야한다"며 "위험자산과 신흥국의 충격이 이어질 수 있어 채권과 달러를 매수해야하는 요인"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번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미국 중앙은행(Fed)가 보유하고 있는 초과지급준비금을 공급해야 한다"며 "국채를 은행의 지급준비금과 상시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스탠딩 레포 제도와 같은 상설 유동성 공급 수단을 만들어야 한다"고 판단했다.
그러면서 "이른바 유동성이 악화되는 '돈맥경화'는 이달 말까지 더 심해질 것"이라며 "Fed는 양적완화(QE) 재개 압력에 노출, 당분간 안전자산 비중 확대가 필요하다"고 부연했다.
이송렬 한경닷컴 기자 yisr0203@hankyung.com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