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682.52

  • 46.00
  • 1.74%
코스닥

844.72

  • 4.74
  • 0.56%
1/2

공유주방 만드는 대구·경북 '제2의 백종원' 키운다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공유주방 만드는 대구·경북 '제2의 백종원' 키운다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청년들의 외식창업을 돕고 경험 부족에 의한 실패를 줄이기 위해 키친랩 등 공유주방이 대구·경북에서 잇따라 생겨나고 있다.

경상북도와 경산시는 29일 경산역 광장에서 청년들의 외식창업 실험공간인 키친랩(lab) ‘청년들의 부엌’을 열었다. 사업비 약 20억원이 투입돼 경산역에 마련된 청년들의 부엌은 연면적 383㎡로 1층에는 실제 주방을 갖추고 영업할 수 있는 공간 두 곳, 2층에는 이론교육과 메뉴학습을 할 수 있는 교육실과 공유주방을 갖췄다.

이곳에서는 외식업 창업 이론교육, 메뉴 개발 및 요리실습, 실전 외식경영 등에 대한 전문가 교육이 이뤄진다. 청년들은 선행단계를 이수해야 다음 단계에 참여할 수 있다. 경산시는 공유주방 참가자에게 50만원, 개별주방 참가자에게는 100만원의 교육 식재료비도 지원한다.

앞서 대구시는 지난해 10월 대구 중구 종로에 3개 팀이 외식점을 경영할 수 있는 ‘청년팝업레스토랑’을 열었다. 이곳에서는 외식업 공간과 주방시설, 외식업 경영에 대한 교육을 지원한다. 식재료는 청년들이 구입하고 수익은 전액 청년창업자들이 갖는다. 3개월 단위로 식당을 운영해볼 수 있는 청년팝업레스토랑에는 그동안 12개 팀이 실전경험을 쌓았고, 이 중 9명의 청년이 창업했다.

대구시와 경상북도, 경산시가 이처럼 공유주방을 운영하는 것은 창업 희망자의 상당수가 외식업을 시작하지만 정보기술(IT) 분야 등 기술창업에 비해 지원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데다 충분한 준비 없이 창업해 실패하는 사례가 많기 때문이다. 외식업 창업은 매장 권리금과 주방시설까지 평균 5000만원 이상 들지만 창업자의 20%만이 생존하는 것으로 대구시는 분석했다.

대구 청년팝업레스토랑 1기에 참여한 신상진 씨(33)는 이곳에서 국밥과 소갈비찜 등으로 식당을 운영해본 뒤 올해 3월 달성군 현풍읍의 백년도깨비시장에서 돼지갈비찜 가게를 창업해 월 2000만원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 신씨는 “충분한 준비 없이 창업한 또래 청년들이 권리금과 시설비를 회수하지 못해 1억원대 손해를 보는 경우가 많다”며 “공유주방을 통해 메뉴 구성, 주방 동선, 고객 관리 등 영업기법을 배웠다”고 말했다.

식당을 운영해 본 뒤 창업 대신 취업으로 돌아선 청년들도 2팀이나 된다. 김요한 시 청년정책과장은 “창업 희망자의 40%가 외식업을 희망하지만 경험이 부족해 실패하는 청년이 많아 청년팝업레스토랑을 운영하게 됐다”며 “이곳에서는 성공도 중요하지만 실패 경험을 쌓고 밖으로 나가 성공하는 게 더 큰 목표”라고 강조했다.

대구=오경묵 기자 okmook@hankyung.com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