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16.86

  • 2.00
  • 0.08%
코스닥

685.42

  • 3.86
  • 0.57%
1/3

[기자파일]스카니아코리아, 구조조정 있다? 없다?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신제품을 출시하며 시장점유율 끌어올리기에 나선 스카니아코리아가 '구조조정' 이슈로 난색을 표하고 있다. 

 지난 23일 스카니아코리아는 기자간담회를 열고 신차 출시와 업계 현황을 알리는 자리를 마련했다. 이 자리에서 카이 파름 스카니아코리아 대표는 지난 7월 말 공정거래법 위반으로 상용차 회사에 부과된 과징금 납부와 관련, "회사에 부과된 과징금은 176억원이며, 아직 공문화된 최종 판결문을 받지 못해 납부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러나 바로 다음날, 스카니아코리아가 과징금을 납부할 여력이 없어 법인 분할에 들어간다는 기사가 흘러나왔다. 본사의 자금 지원을 전제로 도매업 부문을 분할, 별도 법인을 내년 1월1일자로 설립한다는 것. 이에 노조는 손실을 신설법인에 떠맡기고, 신설회사로 옮긴 임직원을 정리해고하는 구조조정 절차에 들어가는 것이 아니냐며 반발하고 있다.

 스카니아코리아가 구조조정에 들어갈 것이라는 소문은 연초부터 업계에 널리 알려졌다. 소문이 구체화된 건 지난 1월 인천 서비스센터 직영화부터다. 회사는 당시 GS엠비즈에 위탁했던 서비스센터 운영을 자회사인 스카니아 인천(주)를 설립, 직영체제로 전환했다. 노조에 따르면 이 과정에서 28명의 직원 중 7명을 강제 사직시켰고, 남아있는 직원들은 고용불안에 시달렸다.






 또 노조는 대전, 광주, 제천 직영판매소 영업 사원의 사직을 종용하고 개별 판매사로 이동시키는 구조조정을 추진했다고 주장했다. 사천 생산공장의 생산직 근로자도 타 부서로 전환배치하면서 향후 고용유지 여부가 불투명해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반면 사측은 일련의 사태는 구조조정이 아니라 수익성 개선을 위한 조직개편 일환이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대량해고를 수반하는 구조조정이 아니라 수익성 극대화와 성장 잠재력 확보를 위한 정상적인 경영활동이라는 설명이다.

 스카니아코리아 관계자는 "인천 영업점의 경우 전 회사에서 직원들을 계약직으로 채용했지만 인수 과정에서 정규직 전환을 약속했다"며 "퇴사한 직원들도 직원 교육 과정에서 3개월치 임금을 미리 받고 자발적으로 나간 것이지 강제 사직은 아니며, 나머지 직원들은 이미 정규직으로 전환된 상황"이라고 말했다.

 법인 분할과 관련 이 관계자는 "수익성이 좋지 않은 도매 부문과 그나마 이익을 내는 소매 및 제조업 부문을 분리, 체질 개선에 나서자는 것"이며 "과징금 납부를 위해 본사에서 자금을 지원받는 과정에서 경영 컨설팅을 시행했고, 이런 내용은 즉시 임직원들에게 전달됐다"고 전했다. 국내 법규에 따라 과징금 부과 후 60일 이내에 전액 납부해야 하는데, 액수가 큰 데다 시일이 촉박한 만큼 본사 지원을 요청한 건 사실이지만 법인 분할에 따른 직원 해고는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현재 스카니아의 글로벌 법인 중 스카니아코리아의 수익성은 하위권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런 가운데 스카니아 대주주가 폭스바겐으로 바뀌면서 수익 달성에 대한 한국법인의 부담도 적지 않다. 실제 23일 기자회견에서 파름 대표는 "(대주주가 바뀌면서)공격적인 경영활동이 필요한 시점이며, 무엇보다 시장점유율을 끌어올리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발언하기도 했다. 파름 대표는 이어 "노사 간 소통에 문제가 있었고, 허심탄회한 대화를 원한다"고 직접 언급하기도 했다. 

 구조조정은 일반적으로 기존의 사업 및 조직구조의 기능 또는 효율을 높이기 위해 시행하는 경영활동을 의미한다. 그렇다고 해고나 인원감축을 반드시 수반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경험적으로 인력 조정이 뒤따른다는 점은 노사 양측 모두 잘 알고 있다. 그래서 사측은 이번 사업구조 개편을 '구조조정'으로 보는 시각이 부담스럽고, 노조는 일련의 상황이 구조조정이 아니면 무엇이냐고 반문한다.

 스카니아코리아는 1995년에 설립, 현재 205명의 직원이 일하고 있다. 수입차 업체 중 유일하게 한국에서 상용차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공정위 과징금 규모가 수입 상용 브랜드 중 가장 크다는 건 그만큼 국내 상용차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는 방증이다. 

 자칫 말싸움으로 보일 이번 사태는 알토란 같은 회사의 생존 여부와 근로자들의 생계가 걸린 중대한 문제다. 그러나 사안을 바라보는 노사의 시각차는 뚜렷하다. 그래서 보다 많은 대회가 필요해 보인다. 파름 대표가 말한 것처럼 소통이 부족했다면 더 많은 만남을 가져야 한다. 가뜩이나 어려운 상황임을 감안할 때 모쪼록 서로 '윈-윈'이 가능한 방법이 도출되기를 기대한다

안효문 기자 yomun@autotimes.co.kr

▶ [기자파일]국산차, 20-30대를 어찌할꼬
▶ 기아차, 5도어 해치백 'K3 유로' 출시
▶ 포르쉐, 신형 파나메라 최저가 1억2,290만원
▶ [칼럼]로터스(Lotus)에 대한 짧은 생각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