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autotimes.hankyung.com/autotimesdata/images/photo/201305/a63a73e32f3c9c6cf695476467caec80.jpg)
기아자동차가 신형 카렌스 디젤을 주력으로 내세웠지만 정작 판매는 LPG 차종이 이끈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통계에 따르면 4월 카렌스 판매대수는 1,512대로 이 중 1,145대가 2.0ℓ LPi 차종이다. 신차를 출시하며 주력으로 내세웠던 디젤의 판매 비중이 전체의 1/4에도 미치지 못한 것. 일반적으로 가솔린과 디젤, LPG를 혼용 운영하는 제품에서 LPG 판매량이 극히 적게 나오는 현상과는 전혀 다른 양상이다.
![]() |
게다가 최근 LPG는 효율이 낮은데도 가격이 지속적으로 올라 더이상 경제적인 연료로 분류되고 있지 못하는 게 현실이다. 때문에 기아차도 신형으로 넘어오면서 '디젤'로 제품 전략을 틀었다. 그러나 결과는 LPG 제품의 고공행진으로 나타났다. 상당히 이례적인 일이다.
이는 카렌스에 대한 확고한 선입견과 무관치 않다는 게 회사 설명이다. 이전 세대까지 카렌스 제품군 내에서 LPG 판매 비중이 97%에 육박했기 때문에 소비자가 인식을 전환하는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 이에 따라 회사도 '디젤 띄우기'를 지속할 예정이다. 언론 노출이나 마케팅 등을 디젤 차종에 집중하고, 디젤 트림에 7인승도 추가했다.
기아차 관계자는 "카렌스는 출시 후 오랜 시간 동안 일반인이 새 차로 구매할 수 있는 유일한 LPG 차로 많은 소비자의 사랑을 받아왔다"며 "신형 카렌스에서 디젤이 처음 투입된 것을 소비자에게 인식시키기 위해 출시 이후 마케팅을 디젤 트림에 집중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그러나 디젤만을 강조하고 LPi를 배제하는 건 아니다"라며 "판매 추이를 지켜보면서 두 트림 모두 '윈-윈'할 수 있는 지원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신형 카렌스는 1.7ℓ 디젤과 2.0ℓ LPi 두 트림으로 판매된다. 엔진은 각각 1.7ℓ VGT 디젤 및 2.0ℓ LPi를 탑재한다. 1.7ℓ VGT 디젤엔진의 성능은 최고140마력, 최대 33.0㎏·m다. 2.0ℓ LPi는 최고 154마력, 최대 19.8㎏·m의 성능을 낸다. 연료 효율은 디젤이 복합 기준 ℓ당 13.2㎞(도심 12.1㎞/ℓ, 고속도로 14.9㎞/ℓ), LPi ℓ당 9.0㎞(도심 8.0㎞/ℓ, 고속도로연비 10.7㎞/ℓ)다.
안효문 기자 yomun@autotimes.co.kr
▶ 볼보차코리아, C30 판매 중단…"V40에 집중"
▶ 수입차 2,000㏄ 미만, 중대형이 주도했다
▶ 車 급발진, 과학적 검증 두고 공방
▶ [시승]젊은 감각을 담은 차, 현대 i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