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 중 약을 먹으면 탯줄을 통해 약 성분이 태아에게 전달된다. 태아는 간과 위의 기능이 미숙한 상태라 약물 대사나 배설이 원활하지 않기 때문에 약 성분이 그대로 몸에 축적된다. 이 때문에 임신인 줄 모르고 혹은 임신 전에 약을 먹었다고 걱정하는 이들이 있다.
그러나 임신 1~2주에 약물복용은 임신이 진행되지 않고 자연유산 되며 그렇지 않을 경우 정상적으로 지나가는 경우가 많다. 보통 엄마의 약물복용이 태아에게 영향을 미치는 시기는 임신 3개월까지이다. 그렇다면 시기별로 임신 중 약물이 태아에게 미치는 영향은 어떨까.
임신 5주 이전까지
임신 5주 이전까지는 정자와 난자가 만나 수정되어 1개의 세포를 형성한 후 계속 분열하여 자궁 내에 착상하는 시기이다. 이때 약물이나 방사선에 노출되어 수정체가 크게 손상을 입으면 유산이 되거나 완전히 재생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임신 5주 ~ 10주까지
기관형성이 되는 시기로 기형이 유발될 수 있는 결정적 시기이다. 이 시기에 약을 복용하면 태아의 심장, 중추신경, 눈과 귀, 팔다리가 완성되는 데 영향을 미친다. 장기의 분화시기가 다르므로 어느 시기에 노출되었느냐에 따라 기형발생빈도와 기형의 종류가 다를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시기에는 태아의 안정성이 확립되지 않은 약물은 섭취하지 말아야 한다.
임신 10주~15주까지
이미 형성된 장기의 기능적 성숙기로서 기형발생은 드문 편이다. 그러나 태아의 외부 생식기가 이 때 형성되고 발달되므로 이 시기에 복용하지 말아야 할 약물을 복용할 경우 성기의 모양이 변할 수도 있다.
임신 15주~출산 전
15주 이후에는 태아가 약으로부터 받는 영향이 크게 줄어들기 때문에 약물복용으로 기형이 될 우려는 거의 없다. 그러나 태아의 신경계가 계속 발달하는 시기로 난청이나 뇌 발달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약물복용뿐만 아니라 알코올에 의해 중추신경계가 손상되어 정신박약을 일으킬 수도 있다. 따라서 임신 중의 알코올은 시기에 관계없이 절대적으로 삼가해야 한다.
![](https://imgbntnews.hankyung.com/bntdata/images/photo/201005/9564b221c5f474556c87d6815b2b2ec3.jpg)
특히 임신기에 부족해 질 수 있는 철분은 붉은색 육류와 녹색잎 채소, 철분이 강화된 시리얼 등을 통해 보충해 줄 수 있다. 또한 과일 주스 등과 같이 비타민 c가 풍부한 식품을 함께 섭취하면 철분의 흡수를 높일 수 있다. (사진제공: 한림제약)
한경닷컴 bnt뉴스 이현아 기자 hyuna@bntnews.co.kr
▶ 조인성 "휴가 때 고현정과 만나 술 마셨다"
▶ 이희진, 마르코와 '19금 뮤비'서 뜨거운 베드신 연기
▶ 이비아, 선정성 이어 욕설 가사로 방송 심의 불가!
▶ '방자전' 류승범, 식스팩 아닌 에이트팩 복근 공개 '남성미 물씬'
▶ 2AM 섹시한 뱀파이어로 변신 '카리스마 물씬'
▶[이벤트]SK2, 임수정처럼 광채나는 피부 갖고 싶니?!
▶[더바디샵 100% 당첨 이벤트] 뉴칼레도니아 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