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 한국은행 총재가 역점을 둬야 할 통화정책방향으로 경제전문가들은 '경제활성화'를 꼽았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지난달 중순께 민간·국책연구소, 학계 및 금융기관의 경제전문가 3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차기 한은총재가 주안점을 둬야할 사안으로 응답자의 59.1%가 '경제성장률 제고'를 제시했다고 10일 밝혔다.
전통적인 중앙은행 역할인 '물가안정'은 31.8%였고 이어 '외환부문 안정을 위한국제공조 강화'가 9.1%였다. 차기 한은총재는 이주열 후보자가 내정돼 있다.
금융통화위원회의 기준금리 정책 방향에 대해서도 응답자의 62.5%는 올해 상반기 중에는 한은의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2.5%로 동결해야 한다고 답했고 상반기 중인하가 필요하다는 응답은 25%, 인상 주장은 12.5%로 나타났다.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의 실행을 앞두고 경제전문가들은 '투자·고용 활성화'(75.
7%)를 정부 중장기 경제정책의 핵심 과제로 꼽았다. 창조경제(9.1%), 가계부채 위험관리(9.1%), 재정건전성 강화(6.1%)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미국 양적완화의 종료 시점을 올해 하반기로 예상한 경제전문가가 48.5%로 가장많았다. 미국 고용지표의 개선이나 실물경기 회복세에 대한 기대가 작용한 것으로보인다.
이와 달리 미국 경기 회복세가 약하다고 보는 전문가들은 종료시점을 내년 상반기(39.4%)로 전망했다.
또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 조치나 그 여파로 나타난 신흥국발 경제 불안이 국내경제에 미칠 영향이 제한적일 것(75.8%)으로 보는 시각이 지배적이었다. 이들은 그이유로 경상수지 흑자 구조와 외환보유비율 등 신흥국과의 차별성(96%)을 꼽았다.
부정적인 영향이 클 것(24.2%)으로 보는 응답자들은 그 이유로 신흥국 수출감소(62.5%), 환율의 급격한 변동성 확대(25%) 등을 들었다.
미국 양적완화 축소와 신흥국 경제위기에 대한 우리 정부의 대처 방식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72.7%가 '보통'이라고 평가했고 '잘하고 있다'(21.2%), '미흡하다'(6.1%)는 평가가 그 뒤를 이었다.
경제전문가들은 앞으로 대외불안 해소를 위해 정부가 가장 우선적으로 역점을두어야 할 사안으로 최근 한-호주 간 5조원 상당의 통화스와프 체결 같은 '원화가치안정을 위한 안전장치 마련'(36.4%)을 꼽았다. 이어 '내수 위주 산업구조로의 신속한 전환'(30.3%), '외국인 국내 투자자금의 급격한 이탈방지'(21.2%), '신흥시장 수출확대 노력'(12.1%) 순으로 답했다.
jooho@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