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636.52

  • 1.08
  • 0.04%
코스닥

839.98

  • 7.99
  • 0.96%
1/2

"대기업 취업경쟁률, 중소기업의 5배"<경총>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대기업 취업경쟁률, 중소기업의 5배"<경총>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대졸자 취업 갈수록 힘들어…스펙보다 면접 중요

대학 졸업생들의 취업 경쟁이 갈수록 심해지고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대기업 선호 현상이 심해지면서 대기업 취업경쟁률이 중소기업의 5배를 넘어섰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325개 기업을 대상으로 񟭍년 대졸 신입사원 채용실태 조사'를 한 결과 취업 경쟁률은 평균 28.6 대 1로 나타났다고 10일 밝혔다.

이는 2008년 조사 때의 경쟁률(26.3 대 1)보다 8.7% 높아진 것이다.

기업규모별로 보면 대기업의 경쟁률이 31.3 대 1로 조사돼 중소기업(6.0 대 1)보다 5.2배 높았다. 5년전(대기업 30.3 대 1, 중소기업 8.4 대 1)과 비교하면 대기업 선호 현상이 더 심해진 것으로 해석된다.

지원자 100명 중 서류 및 필기전형에 합격해 면접에 응시한 인원은 11.5명이며,최종 합격자는 3.5명이다. 2008년 조사에서는 각각 12.3명, 3.8명이었다.

서류전형 합격인원은 5년 전 조사결과보다 증가했다.

3단계 전형(서류-필기-면접)과 2단계 전형(서류-면접) 모두 서류 합격 인원이늘어나 스펙에 의존하는 서류전형 비중을 줄여 지원자들에게 더 많은 기회를 주는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채용과정별 중요도를 물은 결과 면접은 2011년 56.3%에서 이번에 59.9%로 3.6%p 증가한 반면 서류전형은 39.9%에서 34.9%로 5.0%p 줄어들었다.

1회만 면접을 실시하는 기업이 줄고, 2회 이상 면접하는 기업의 비중이 늘어난것도 같은 의도인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대기업은 2회 이상 면접하는 비율이 86.0%로 나타나 2008년(48.9%)보다 크게 늘었다.

1차 면접과 2차 면접의 중요도에 대해서는 대기업은 1차 실무면접(29.5%)에 비해 2차 임원면접(31.7%)이, 중소기업은 2차 면접(22.7%)보다는 1차 면접(36.7%)이더 중요하다고 답해 차이를 보였다.

응답기업의 64.2%는 스펙을 서류전형 때 최소한의 자격요건 혹은 지원 적격 여부를 판단하는 목적으로 활용한다고 답했고 9.5%만 채용 전형의 핵심으로 활용한다고 응답했다.

스펙 중에서는 업무관련 자격증(5점 만점 기준 3.88점)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나타났으며 인턴 등 사회경험(2.75점), 학교성적(2.57점)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외국어 성적(1.69점)이나 수상경력(0.71점) 등은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게 봤다.

한편 올해 입사한 대졸사원의 평균 연령은 28.4세, 학점은 3.57점(4.5 만점),토익점수는 703점으로 조사돼 지난 7년간 거의 변화가 없었다.

다만 대기업의 스펙 기준이 중소기업보다 높게 나타났다. 대기업의 경우 연령 27.7세, 학점 3.66, 영어성적 782점인데 비해 중소기업은 각각 28.9세, 3.50점, 590점으로 조사됐다.

sungje@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