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추·무, 2배 이상 급등…전기료 인하 효과 소멸로 생활물가 올라국제유가 상승으로 석유류 하락폭 축소…물가 하방압력 약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8개월 만에최고 수준을 보이며 2개월째 1%대를 기록했다.
전기료 인하 효과가 끝나면서 생활물가 상승률은 27개월 만에 최고 수준으로 올라섰다.
폭염에 출하량이 줄어든 농·축·수산물 가격이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1일 발표한 ཆ월 소비자물가동향'을 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1.3% 올랐다. 올해 2월(1.3%) 이후 8개월 만에 상승 폭이 가장 컸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5월부터 8월까지 계속 0%대에 머물다가 지난 9월(1.2%) 1%대로 올랐다.
농축수산물 가격이 1년 전보다 8.1% 상승하면서 전체 물가를 0.60%포인트 끌어올렸다. 9월 상승폭(10.2%)보다는 낮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농산물은 10.3%나 뛰었다. 축산물과 수산물도 각각 6.1%, 5.3% 상승하며 전체물가상승을 견인했다.
석유류 가격은 5.7% 떨어졌지만 전달(-7%)보다 하락 폭은 줄었다.
전기료 인하로 9월 13.9%나 떨어졌던 전기·수도·가스는 전기료 인하 효과가소멸하면서 8.2% 하락하는 데 그쳤다. 전체 물가 기여도도 -0.64%포인트에서 0.39%포인트로 축소됐다.
저유가 여파가 여전했지만 여름철 전기료 한시적 인하 효과가 사라지면서 하락폭이 전달보다 작아진 것이다.
집세, 공공서비스, 개인서비스 등은 각각 2.4%, 0.8%, 2.0% 상승했다.
지출목적별로 살펴보면 식료품·비주류음료가 1년 전보다 5% 상승하며 전체 소비자물가를 0.69%포인트나 끌어올렸다. 과자류 등 일부 가공식품의 출고가가 올라간탓이다.
음식 및 숙박은 2.2%, 교육은 1.6% 오르며 상대적으로 높은 상승세를 나타냈다.
반면 교통, 주택·수도·전기·연료 등은 각각 1.4%, 0.4% 하락했다.
농산물 및 석유류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1년 전보다 1.5% 상승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인 식료품·에너지제외지수는 1년 전보다1.6% 올랐다.
생활물가지수는 작년 같은 달보다 1.0% 올랐다. 2014년 7월(1.4%) 이후 2년3개월 만에 상승률이 가장 높았다.
생활물가지수 상승 폭이 큰 것은 전기료 인하 효과가 소멸되고 농축산물 인상폭이 다소 둔화된 것이 영향을 미쳤다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소비자들이 자주 사는 채소, 과일, 생선 등의 물가인 신선식품지수는 15.4% 뛰었다.
특히 신선채소가 42%나 상승하면서 전체 상승세를 이끌었다. 신선과실은 1.4%,신선어개는 6.0% 상승했다.
품목별로는 배추(143.6%), 무(139.7%) 등 일부 농산물이 100% 이상 가격이 오르며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지역난방비(-22.5%), 도시가스(-19.1%) 등도 가격이 하락했으며 쌀(-14.5%), 사과(-14%) 등 일부 농산물도 1년 전보다 가격이 내렸다.
휘발유(-5.6%)와 경유(-3.8%)는 전달보다 약 1%포인트 하락 폭이 둔화됐다.
지역별로는 부산·대구·광주가 각각 1.6%, 서울과 전남은 각각 1.5% 상승했다.
그 외 시도는 0.9∼1.4%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공공서비스 물가상승률은 광주(1.9%)가 가장 높았으며 전남(1.7%), 경북(1.7%)등이 뒤를 이었다.
우영제 통계청 물가동향과장은 "출하량이 늘면서 농축수산물 물가 상승 폭이 9월보다 줄었지만 여전히 높은 상황"이라면서 "다음 달 도시가스 가격이 인상될 예정이고, 유가 회복으로 석유류 가격도 오를 것으로 보여 전반적으로 물가 하방압력이약화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dk@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