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515.49

  • 31.57
  • 1.24%
코스닥

724.01

  • 8.30
  • 1.13%
1/6

"한국 금융 최대 위험요인은 중국의 경기 둔화"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한은, 금융전문가 조사…미국 금리 인상·가계부채도 위험요인금융시스템 위험발생 가능성 우려 커져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위험요인으로 중국의 경기 둔화를 지목하는 금융전문가들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금리 인상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컸고 급증하는 가계 부채가 위험하다고보는 이들도 여전히 많았다.

한국은행은 지난 9월30∼10월8일 국내외 금융경제전문가 81명(71개 금융기관)을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이렇게 나타났다고 15일 밝혔다.

조사 대상자는 국내 금융기관의 경영전략 및 리스크 담당 부서장, 금융시장 참가자 등 72명과 해외 금융기관의 한국 투자 담당자 9명이다.

설문결과 국내 금융시스템의 주요 위험요인은 '중국 경기 둔화'(90%·복수응답기준), '미국의 금리 정상화'(72%), '가계부채 문제'(62%)가 꼽혔다.

이 가운데 '미국의 금리 정상화'는 발생 가능성이 크고 '중국 경기 둔화'와 '가계부채 문제'는 발생 가능성이 중간 수준으로 조사됐다.

한국은행의 올해 5월 조사와 비교하면 '중국 경기 둔화' 응답이 60%에서 5개월만에 30% 포인트나 급등했다.

'미국의 금리 정상화'는 60%에서 12% 포인트 올랐고 '가계부채 문제'는 66%에서4% 포인트 하락했다.

'저성장·저물가 기조의 고착화'는 주요 위험요인(응답자의 50% 이상이 선택한경우)에서 빠졌다.

지난 5월 조사 당시 응답자의 64%가 선택했지만, 이번에는 47%에 그쳤기 때문이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가계부채 등 내부적 문제보다 미국과 중국 변수 등 외부적상황에 대한 우려가 큰 것으로 해석된다.

응답기관에 따라 인식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국내은행의 응답자는 '중국 경기 둔화'(90%), '가계부채 문제'(65%), '저성장·저물가 기조의 고착화'(55%), '기업 부실위험 증가'(50%)를 위험요인으로 꼽았다.

이와 달리 비은행금융기관 응답자의 94%는 '가계부채 문제'를 위험요인으로 판단했고 그 다음이 '중국 경기 둔화'(88%)였다.

해외의 조사 대상자는 '중국 경기 둔화'(89%)뿐 아니라 '신흥국 경제 불안'(67%)도 위험하다고 봤다.

1년 이내의 단기에 금융시스템 위험이 발생할 가능성에 대해서는 '낮다'는 응답이 44%로 '높다'(15%)보다 많았다.

그러나 '낮다'는 응답은 5월 조사 때 58%보다 큰 폭으로 하락했고 '높다'는 응답은 6%에서 상승했다.

중기(1∼3년)에 금융시스템 위험이 발생할 가능성에 대한 인식도 비슷했다.

위험 발생 가능성이 '높다'고 응답한 전문가는 37%로 '낮다'(19%)보다 크게 높았다.

또 금융시스템 안정성 신뢰도(향후 3년간)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54%가 '보통'을선택했고 '높다'는 35%, '낮다'는 11%로 각각 집계됐다.

금융시스템 안정성의 신뢰도가 낮다고 본 응답은 지난 5월 조사 때 7%보다 4%포인트 상승했다.

nojae@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