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지조사 바탕으로 중소기업 전자상거래 수출 지원
정부가 미국과 중국, 일본 등에 국내 중소기업이 온라인으로 수출을 늘릴 수 있도록 5개국을 선정해 나라별 맞춤형 '역(逆) 직구'전략을 마련하기로 했다.
23일 기획재정부와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정부는 미국, 중국, 일본, 베트남,인도네시아 등 전자상거래 대상 주요국 5곳에 대해 나라별로 상품·마케팅·결제·배송시스템 등 전반에 걸친 맞춤형 전략을 만들어 오는 6월 발표할 계획이다.
대상국가는 전자상거래 수출 실적과 시장 규모 등을 바탕으로 선정됐다. 정부는이들 국가의 전자상거래 시장 특성 등을 파악하기 위해 무역협회, 코트라를 통해 문헌·현지 조사를 진행 중이다.
조사가 마무리되면 결과를 바탕으로 5개국별 전략 상품과 문화적 특성에 맞는마케팅 방법, 각국에서 선호하는 결제와 배송시스템 등을 안내하는 내용을 책자와영상, 스마트폰 앱 등으로 콘텐츠화해서 중소기업 위주로 배포하고 설명회도 개최할예정이다.
전략 수립 과정에서 제도 개선 필요성이 발견된 부분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반영할 방침이다.
정부가 이처럼 역직구 활성화를 위해 발 벗고 나선 것은 전자상거래 수출 시장이 급속도로 커지고 있지만 나라별로 여건이 달라 중소규모의 국내 기업들이 개별적으로 대응하기에는 역부족이라고 판단해서다.
실제로 역직구 시장을 들여다보면 미국은 의류와 액세서리, 중국과 일본은 화장품, 인도네시아는 음반 등 국가별로 선호하는 한국 상품의 종류가 조금씩 다르다.
중국에서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인 웨이보와 큐큐(QQ) 메신저를 적극적으로이용해야 소비자들이 신뢰를 갖고, 미국은 결제 시스템을 최대한 간소하게 운영해야하는 등 '먹히는' 마케팅과 영업 방법도 차이가 있다.
여기에 나라별로 천차만별인 관세 혜택과 상표권과 인증 등 법률적 문제, 배송환경 등까지 고려해야 하는 상황이다.
정부 관계자는 "어떤 나라는 물건을 받은 뒤 돈을 내는 후불 방식이 더 널리 퍼져있기도 하고, 한국 전자상거래에서 주로 사용하는 오픈마켓 등과는 방식이 다른경우도 많다"며 "개별 민간기업이 챙기기는 어려운 부분들이어서 최대한 구체적으로조사해 전략을 수립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주요국별 전략 수립과 함께 역직구 활성화를 위해 다각적인 방안을 준비중이다. 최근 각광받고 있는 직구에 비해 역직구 실적이 초라하기 때문이다.
관세청의 전자상거래 수출입동향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해외 직구는 1천553만건, 15억4천492만달러에 달했지만 역직구는 10만5천400건, 2천809만달러에 불과했다.
이에 따른 무역 적자는 15억1천683만달러(약 1조6천억원)에 이른다.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해 규제개혁점검회의에서 '천송이 코트'를 언급한 데 이어올해 신년 기자회견에서도 "국내소비자 해외 직구는 폭발적으로 느는데 해외소비자의 국내 역직구는 걸음마 수준"이라며 역직구 활성화 필요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일단 기존 수출 신고 기준의 통계와는 달리 온라인 쇼핑몰을전수조사하는 방식의 새로운 직구·역직구 통계를 준비하고 있다. 전략 수립의 기초는 정확한 현실 파악이라는 생각에서다.
역직구 활성화의 최대 걸림돌로 꼽히는 국내 결제시스템도 액티브엑스(ActiveX)를 폐지하는 등 외국에서도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전환 중이다.
정부 관계자는 "역직구는 기본적으로 민간의 상거래라 정부가 개입할 수 있는부분은 한정적인 측면이 있지만, 걸림돌이 되는 제도 개선이나 현지 조사를 바탕으로 한 맞춤형 전략 제시 등을 통해 우리 기업이 물건을 많이 팔 수 있도록 지원하려한다"고 말했다.
charge@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