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스코어 "200개 펀드중 110개 마이너스 수익"
정부가 저소득 근로자의 재산형성에 도움을 주기 위해 지난해 3월에 도입한 소득공제장기펀드(소장펀드) 2개 중 1개는 마이너스수익률을 기록한 것으로 조사됐다.
국내주식형 비중이 전체 소장펀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 가운데, 기초자산인 코스피지수의 하락이 펀드 수익률에 악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된다.
소장펀드의 이같은 부진은 증시 침체와 이로 인한 주가하락이 가장 큰 원인으로지적되고 있으나 당초 취지와 달리 가입자들의 재산 손실로 이어지면서 제도 자체에대한 신뢰 하락 등 부정적 영향이 적지 않을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8일 기업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대표 박주근)가 27개 자산운용사가 운용하는 200개 소장펀드(펀드 클래스 전체)의 6개월 수익률을 조사한 결과, 110개 펀드(55.0%)가 마이너스 수익률을 보였다.
이중 신영·트러스톤·교보악사·하나UBS·한화·KDB·베어링·유리·알리안츠글로벌인베스터스·유진 등 10개 자산운용사는 운용 중인 모든 펀드가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해 체면을 구겼다.
이들 10개사가 운용 중인 펀드만 총 55개로 전체의 27.5%에 달한다.
6개월 전인 2014년 9월 말에 2020선을 넘었던 코스피 지수는 올해 2월 말까지도1900선에 머무는 등 오랜 슬럼프에 빠졌던 것이 마이너스 수익률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풀이된다. 전체 소장펀드 중 국내주식형 펀드만 108개(54.0%)다.
채권혼합형 펀드도 주식을 40~50%까지 채우게 돼 있어 주식 운용성과에 따라 운용사별 수익률이 좌우됐다는 분석이다.
반면, 운용 펀드 모두가 플러스 수익률을 올린 곳은 한국투자밸류·KB·마이다스애셋·NH-CA·KTB·현대인베스트먼트 등 6곳이었다.
박스권 증시에서도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던 가치주와 중소형주, 배당주 등을 기초자산으로 한 소장펀드는 다수 플러스 수익률을 기록하면서 겨우 체면을 유지했다.
자산운용업계 관계자는 "운용사별 소장펀드 수익률은 주식형펀드 운용성과에판가름나는 편"이라며 "채권혼합형이라도 소장펀드는 기본적으로 주식 비중이 40~50%에 이르기 때문에 주가 향방에 따라 수익률이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어 "소장펀드가 소득공제용에 수익률을 더한 펀드이기 때문에 단기적인 수익률의 등락보다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투자해야 한다"고 전했다.
소장펀드는 연간 총 급여가 5천만 원 이하인 근로자만 가입이 가능하며 납입한금액의 40%를 소득공제 받을 수 있다. 최소 가입기간은 10년이고, 연간 납입한도금액(600만 원)을 모두 채우면 연말정산 시 약 40만 원의 환급금을 받을 수 있어 소득공제와 더불어 수익률까지 챙길 수 있는 투자 상품이다.
yks@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