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명中 6명은 고향 떠나 '타향살이'
지난 1999년 70%에 달했던 성인 남성 흡연율이지난해에는 40%대로 떨어졌다.
고향을 떠나 다른 곳에서 '타향살이'를 하는 사람이 10명 중 6명꼴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이 결혼이나 출산, 육아 등 가정 일과 관계없이 일자리를 계속 가져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하고 있다.
◇ 성인 남성 10명중 4명은 여전히 담배 피워 18일 통계청이 발표한 '한국의 사회동향 2014'에 따르면 성인 남성 흡연율은 1999년 67.8%에서 2012년 44.9%로 줄었다.
질병관리본부는 지난해 성인 남성 흡연율이 42.1%로 집계됐다고 밝힌 바 있다.
15년 전에는 성인 남성 10명 중 7명이 담배를 피웠으나, 이제는 흡연자가 10명중 4명 꼴로 줄어든 셈이다.
통계청은 같은 기간 여성 흡연율도 4.6%에서 4.0%로 감소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성인 남성 기준으로 보면 현재 한국 흡연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국가 중 두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정부는 흡연율 감소와 국민건강 증진을 이유로 내년 1월부터 담뱃값을 2천원 인상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2010년 기준으로 출생 시군구를 떠나 다른 곳에서 거주하는 타향살이 비율은 59.4%였다.
1970년 21.0% 수준이던 타향살이 비율은 40년 동안 약 2.8배가량 늘었다.
지역별로 보면 전체 인구 중 다른 시군구 출신 인구 비율이 높은 곳은 경기(74.
9%), 서울(65.1%)이었다. 제주(27.1%), 전남(35.7%)에서는 타향살이 비율이 낮아 '토박이'가 많이 사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을 빠져 나가는 사람은 늘고 있다. 지난해 서울 인구는 약 10만명 순감소했고, 수도권 인구도 약 4천명 줄었다.
1970년대에는 매년 약 36만명이 수도권으로 순이동했으나 2000년 이후에는 약순이동 규모가 10만명 수준으로 줄었다.
다문화 가정 학생은 2009년 2만6천명에서 지난해 5만6천명으로 두 배 넘게 늘었다. 전체 학생에서 다문화 가정 학생이 차지하는 비율도 2009년 0.35%에서 지난해 0.86%로 증가했다.
지난해 기준 다문화 가정 자녀 취학률은 초등학교 93.0%, 중학교 75.6%, 고등학교 76.7%로, 전체 초·중·고 취학률인 85.5%, 70.1%, 57.4%보다 많게는 20%포인트까지 낮았다.
지난해 전체 진료비에서 의약품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26.1%로 높은 편이었다.
항생제 처방률은 2004년 35.2%에서 2013년 24.5%로 10%포인트 이상 낮아졌으나여전히 세계보건기구(WHO)의 권장수준인 23.0%를 웃돌고 있다.
◇ "여성 결혼·출산 등 관계없이 계속 일해야" 인식 늘어 결혼·출산·육아 등과 상관없이 여성이 계속 일자리를 가져야 한다는 인식이늘고 있다.
'여성이 가정 일과 관계없이 계속 취업해야 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1998년 29.0%에서 지난해 50.7%로 21.7%포인트 증가했다.
같은 기간 '여성은 결혼 전까지만 취업해야 한다'는 응답은 13.4%에서 4.3%로,'자녀 성장 후 취업해야 한다'는 응답은 17.8%에서 13.9%로 각각 감소했다.
여성 취업 장애요인이 '육아부담'이라는 응답은 1998년 30.8%에서 지난해 48.5%로 늘어났고, '여성의 직업의식, 책임감, 능력 부족'이라는 응답은 14.3%에서 6.3%로 줄었다.
'가정보다 일이 우선'이라고 생각하는 비율은 남성이 64.3%로 여성(41.7%)보다22.6%포인트 높았다.
여성의 경우 20대에는 가정보다 일을 우선시하는 비율이 63.3%로 남성(64.8%)과비슷한 수준이지만, 30대부터는 40% 이하로 낮아지는 모습을 보였다.
가사 일 중 식사준비와 세탁은 80% 이상 아내가 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집안 수리는 70% 정도가 남편이 주로 하고 있었다.
부부가 공평하게 가사에 참여하는 비율은 한국이 일본보다는 높지만, 북유럽이나 서유럽 국가들에 비해서는 매우 낮은 수준이었다.
여성 배우자의 가구소득 기여도는 2006년 13.4%에서 2013년 15.2%로 1.8%포인트늘었다. 특히 고소득계층인 5분위에서 2006년 16.2%에서 2013년 18.9%로 상대적으로 큰 폭 증가를 보였다.
같은 기간 여성 근로자는 관리·전문직과 사무직에서 늘어난 반면 서비스·판매직과 기능직에서는 감소했다.
지난해 가구당 가계부채는 5천818만원으로 2010년 대비 약 1천200만원 증가했다. 처분가능소득 대비 부채는 1.52에서 1.60으로 상승했다.
부채보유 가구 비율도 2010년 59.8%에서 지난해 66.9%로 상승했다.
가계부채는 주로 임대보증금, 주택구입, 사업자금 마련에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charge@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