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사외이사들을 둘러싼 고액 연봉 논란이지속되는 가운데 한국금융연구원이 국내 은행권 사외이사 연봉은 글로벌 은행과 비교해 높은 수준이 아니라는 연구 결과를 내놨다.
은행들의 분담금으로 운영되는 이 연구소의 핵심 주장은 사외이사의 보상 수준을 낮추기보다는 보상에 걸맞은 적절한 역할을 부여해야 한다는 것이다.
금융연의 김우진 금융산업연구실장은 22일 '국내은행 사외이사의 보수체계 적정수준에 관한 연구' 보고서에서 국내 은행 사외이사 연봉은 글로벌 37개 은행 평균의25% 수준이라고 밝혔다.
분석 대상인 영국 '더 뱅커(The Banker)'지 선정 세계 100대 은행 중 뱅크오브아메리카, 크레디스위스 등 37개 은행의 지난해 사외이사 보수는 평균 21억2천만달러(약 2억2천345만원)에 달한다는 것이다.
이에 비해 올해 3월 말 기준 국내 은행권의 사외이사 보수는 금융지주 5천460만원, 시중은행 5천430만원, 지방은행 3천610만원 등 평균 4천920만원이었다.
개별 회사로 보면 KB금융지주(9천200만원)의 사외이사 보수가 가장 많고 국민은행(7천300만원), 외환은행(6천만원), 하나은행(5천500만원)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세계 100대 은행에는 KB금융지주, 신한금융지주, 우리금융지주, 산은금융지주,하나금융지주 등 5개 은행지주도 포함돼있다.
김 실장은 "국내 은행권 사외이사 보수는 비슷한 규모인 글로벌 은행의 33% 수준"이라고 말했다.
지역별로 은행 사외이사 보수를 보면 오세아니아(32억5천만달러), 북미(28억3천만달러), 유럽(27억1천만달러), 아시아(6천200만달러) 등 순으로 아시아가 다른 지역에 비해 낮은 편이었다.
김 실장은 "영미식 지배구조를 도입한 국가는 사외이사 보수 수준이 높고, 스위스처럼 금융부문이 국가의 부를 창출하는 핵심인 나라는 연봉이 매우 높았다"고 소개했다. 크레디스위스의 사외이사 연봉은 한국 돈으로 7억원에 이른다는 설명이다.
그는 "사외이사의 역할은 금속 탐지기와 같아서 울리지 않는다고 역할이 없는것이 아니다"라며 "사외이사가 고액의 보수를 받으면 경영진을 견제할 수 없다는 주장에는 무리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사외이사 보수를 성과급에 연동할 수 있을지 고민해 봐야 한다"며 "글로벌 50위권 도약 등 구체적인 전략이 이사회에 주어진다면 주식 형태로 보수를 주는방식을 도입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외국의 금융 지주회사는 사외이사에게 보수를 줄 때 기본급과 수당은 현금, 인센티브는 주식과 스톡옵션으로 지급하는데 국내에선 스톡옵션 등 성과 연동형 보수체계가 제대로 도입돼 있지 않다는 설명이다.
chopark@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