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501.24

  • 20.61
  • 0.83%
코스닥

677.01

  • 3.66
  • 0.54%
1/3

돈, 가계보다 기업으로 풀렸다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시중의 돈이 가계로 유입되는 속도보다 기업으로 흘러가는 속도가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8일 한국은행이 '통화 및 유동성' 자료에서 공개한 경제주체별 통화 통계를 보면, 지난해 11월 가계 및 비영리단체가 보유한 시중통화량(M2)은 전년 같은 달보다4.1%(평잔·원계열) 증가하는 데 그쳤다.

반면 기업의 M2 증가율은 9.9%에 이르렀다. 가계의 2배를 훌쩍 넘는 수준이다.

M2는 언제라도 사용할 수 있는 현금과 금융자산을 의미한다. 현금과 요구불예금(M1), 2년 미만 정기 예·적금, 머니마켓펀드(MMF) 등 시장형 상품을 포괄하는 대표적인 유동성 지표다. M2 증가율이 높을수록 시중에 풀린 돈이 많아졌다는 의미다.

가계와 기업의 M2 증가율은 2010년 각각 8.0%, 10.9%로 격차가 크지 않았다.

그러나 2011년 가계가 4.1%, 기업이 7.5%로 떨어지고 2012년 각각 4.3%, 6.8%를기록한 뒤 가계와 기업 간 차이가 벌어지고 있다.

2013년 하반기에는 7월(2.5%, 8.3%)에 견줘 9월(3.6%, 8.0%)엔 격차가 좁혀졌다가 11월(4.1%, 9.9%) 들어 다시 차이가 나는 모습이다.

한 달 전과 비교하더라도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보유 통화(평잔·계절조정계열)는 4조9천억원 늘어난 반면, 기업은 5조7천억원 늘어났다. 수출 대기업을 중심으로일시여유자금 예치가 늘어나 기업 부문의 보유 통화가 증가했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실제로 우리나라 국민소득에서 노동소득이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내는 노동소득분배율은 2006년 61.3%를 정점으로 2012년에는 59.7%로 감소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의 경우 2011년 기준으로 미국 67.3%, 영국 70.7%, 독일 66.9%, 일본 70.7% 등 한국보다 10%포인트가량 높다. 그만큼 기업이익 중근로자 임금으로 돌아가는 몫이 크다는 의미다.

한은 관계자는 "기업의 M2 증가율이 더 높은 건 맞지만 가계, 기업 모두 꾸준히안정적인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며 "가계의 보유통화 규모 자체가 기업보다 크기 때문에 증가율 자체는 낮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clap@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