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국 "종합검사에서 장기 집권 문제점 대거 적발"이장호 "건전성 훼손할만한 큰 문제 없었다" 주장
금융당국이 이장호 BS금융지주회장에게장기 집권의 폐해가 심각하다며 사실상 퇴진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박근혜 정부 들어 대형 금융지주사 뿐 아니라 지방 금융지주사 회장까지 물갈이에 동참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금융당국이 징계 절차도 거치지 않은 상태에서 민간 금융사 최고경영자(CEO)의 거취 문제를 거론하는 것에 대해 '관치' 논란이 불거질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5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최근 금융감독원의 BS금융지주[138930]와 부산은행에 대한 종합검사 결과, CEO 장기 집권에 따른 내부 경영상의 문제가 다수 발견돼 사실상 이장호 회장의 퇴임을 촉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회장이 부산 지역을 대표하는 금융기관 수장으로서 국제금융중심지 위상에걸맞은 구실을 하지 못한 채 장기 집권을 통해 독단적인 경영을 한 것으로 당국은보고 있다.
이 회장은 2001년 3월 부산은행 임원으로 선임된 이후 12년간 임원 생활을 했고2006년 이후 7년간 부산은행 및 BS금융지주의 CEO를 지냈다.
금감원 조사 결과, 이 회장은 BS금융지주와 자회사 임원 54명 중 24명을 자신의모교인 부산상고 또는 동아대 출신으로 채웠다는 것이다. 부산은행은 부서장과 핵심점포 지점장(1급)의 57%가 동문이었다.
BS금융지주 출범 후 자회사 최고경영자(CEO) 6명도 이 회장이 독단적으로 추천했다는 것이 금감원의 설명이다. 자회사 CEO를 추천하려면 인선 자문단을 구성하거나 외부 전문가 조언을 받아야 하지만 이 회장은 자신이 직접 추천한 단일 후보에대해 후보추천 위원회 위원들이 의견을 제시하도록 했다고 금감원은 전했다.
이 회장의 임기는 내년 3월까지로 9개월이 남았으나 현재 제대로 된 CEO 승계프로그램조차 없어 임기가 끝나더라도 또다시 연임을 노릴 가능성이 큰 것으로 금융당국은 보고 있다.
2011년 5월 지배구조 내부규범을 통해 CEO 승계프로그램을 마련하도록 지도했음에도 구체성이 떨어져 실질적으로 후계자를 양성하려는 의지가 없는 것으로 평가됐다고 금감원은 설명했다.
금융지주 회장은 박근혜 정부 들어 강만수 산은지주 회장에 이어 신동규 농협지주 회장이 사퇴했고 이팔성 우리금융지주 회장과 어윤대 KB금융 회장도 퇴진을 앞두고 있다. 지방 첫 지주사인 BS금융지주의 이 회장마저 물러나면 금융권 전반의 물갈이가 끝날 것으로 보인다.
금융당국 고위 관계자는 "민간기업의 경영진은 내부에서 주주 의사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총자산가치에서 주주 몫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적고 오히려고객 예금으로 조성된 자산 가치 비중이 대부분인 은행에는 경영 건전성 저해 요인이 있다면 감독 당국으로서 일정 부분 개입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장호 회장은 부산 지역 발전에 이바지하고 있으며 종합검사 결과와 관련해 회사의 건전성을 훼손할만한 큰 문제점이 없다는 입장이다.
이 회장은 금융당국이 지적한 학연 위주의 임원 인사에 대해서도 "과거에는 입행하는 사람의 절반이 부산상고 출신이었기 때문에 간부급 직원들 사이에서는 (특정고교 졸업생이 많은 것이) 특별한 일이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president21@yna.co.kr cindy@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