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단 내 회의론 대두…주요 사업장 미상각 채권 발견
쌍용건설[012650]의 워크아웃(기업 재무구조 개선)이 신청 3개월 만에 최대 고비를 맞았다.
주요 채권은행은 이번 주 일제히 워크아웃에 대한 찬반을 정하기로 했다. 채권단 사이에서는 워크아웃을 부결시키고 법정관리로 가자는 기류도 감지된다.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쌍용건설 채권은행들은 이번 주 여신정책 회의를 열어 1천70억원의 출자전환과 4천450억원의 신규 자금지원에 대한 입장을 정리한다.
채권을 주식으로 바꾸는 출자전환이 부결되면 신규 자금지원도 이뤄지지 않아쌍용건설의 워크아웃은 끝내 불발된다.
이날 회의를 여는 산업·신한·국민은행 내부에서는 워크아웃에 부정적인 견해가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오는 30일 회의를 여는 하나은행 역시 실무진 차원에선 워크아웃에 회의적이라는 의견이 우세하다.
앞서 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 채권금융기관도 워크아웃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통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워크아웃은 채권단의 75%가 동의해야 개시된다.
쌍용건설 워크아웃을 두고 채권단에 부정적인 기류가 흐르는 이유는 지원의 실익이 별로 없다는 점 때문이다.
채권단은 이미 쌍용건설에 자산담보부기업어음(ABCP) 매입과 출자전환 등으로 3천700억원을 지원했으며, 2천400억원의 신규 해외 지급보증이 논의되고 있다.
여기에 추가 출자전환과 유동성 공급을 더하면 1조1천600억원에 달하는 자금이들어간다. 기존 채권 1조3천억원에 맞먹는 규모다.
한 채권은행 관계자는 "지난주 금융감독원이 소집한 부행장 회의에서도 부정적의견이 다수였다"며 "쌍용건설 지원에는 불합리한 부분이 너무 많다"고 지적했다.
쌍용건설이 '돈 먹는 하마'라는 문제와 더불어 자산관리공사(캠코)와 군인공제회가 자금을 회수하려는 움직임도 채권단의 지원 명분을 희석시키는 요소다.
캠코는 법적인 문제가 있고 군인공제회는 워크아웃 비협약 기관이기는 하지만,결과적으로 채권단의 지원금이 이들 기관의 자금 회수에 쓰이기 때문이다.
결국 추가 자금 지원이 필요한 워크아웃 대신 법정관리를 거쳐 청산 절차를 밟는 게 낫다는 의견이 채권단 내에서 나오고 있다.
회계법인 실사에서 쌍용건설은 존속가치가 청산가치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는 추가 자금지원을 전제로 한 것인 만큼 이제라도 발을 빼겠다는 것이다.
실사 보고서에 따르면 쌍용건설은 가장 문제가 되는 우이동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장 1천150억원에 대한 상각을 하지 않은 채 미뤄둔 것으로 드러났다.
다른 채권은행 관계자는 "추가 유동성 4천450억원을 또 출자전환해야 한다"며 "매각 실패로 연말에 상장 폐지되면 쌍용건설 주식은 휴짓조각"이라고 말했다.
다만 워크아웃이 불발되면 채권단도 하도급대금·PF 보증과 대출 등으로 약 2조원의 피해가 예상돼 진통 끝에 워크아웃에 동의할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대규모 해외 수주가 무산되고 1천400개 협력업체가 어려움을 겪는 점을 들어 자금 지원을 압박하는 금융당국의 입장도 채권단을 '전략적 선택'으로 이끌 수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쌍용건설과 STX그룹 모두 대규모 자금이 투입된 기업에 대한지원을 끊을 수 없는 '대마불사'의 딜레마가 있다"고 전했다.
zheng@yna.co.kr ksw08@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