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물가안정목표제 워크숍 개최
선진국 중앙은행들이 물가보다 경기에 대응해기준금리를 변동시켰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 같은 주장은 한국은행이 물가안정목표제 도입 15주년을 기념해 27일 한은 본관에서 개최한 `물가안정목표제 워크숍'에서 나왔다.
물가안정목표제는 중앙은행이 일정기간 달성해야 할 물가목표치를 미리 제시하고 이에 맞춰 통화정책을 운영하는 것을 말한다. 우리나라는 1998년 도입했다.
워크숍에서 장민 금융연구원 연구조정실장은 "물가안정목표제를 도입했던 나라들을 분석한 결과 선진국에서는 물가보다 경기에 대응해 금리를 변화시킨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장 실장은 "선진국에서는 물가안정목표제가 상당기간 시행되면서 물가가 목표범위 내에서 성공적으로 통제됨에 따라, 물가의 미세한 변화에 반응하기보다는 경기변동성을 축소하는 데 많은 비중을 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반면에 신흥국에서는 통화정책이 물가 움직임에 민감했던 것으로 분석했다.
그는 "신흥국은 선진국보다 상대적으로 늦게 물가안정목표제를 도입한 데다 물가도 상당히 불안정한 모습을 보여, 조속히 물가안정을 이뤄 통화정책의 신뢰성을쌓으려는 동기가 컸다"고 말했다.
우리나라도 통화정책의 물가 움직임에 대한 반응도가 커 신흥국의 특징을 보였던 것으로 분석됐다.
물가안정목표제 도입 전인 1990~1997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연평균 6.1%였지만, 도입 후인 2000~2011년에는 3.2%로 내려와 물가안정 목표는 대체로 달성한 것으로나타났다.
다만 2008년 금융위기 이후에는 국제원유가격 급등 등 공급 요인이 주도하는 물가 변동으로 인해 물가안정목표제의 운용 여건이 악화된 것으로 분석됐다.
향후 통화정책의 유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금융불안이나 경기침체에 대한 대응력을 높일 필요가 있다는 주장도 나왔다.
장 실장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금융안정이 통화정책의 또 다른 주요 목표로인식되는 점을 감안해 물가안정목표제의 신축성을 보다 높여주는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인플레이션 억제에 주력한 나머지 디플레이션 등의 발생 가능성에 대한 정책적 고려는 상대적으로 소홀했던 점도 향후 통화정책에서 고쳐나가야 할 부분"이라고 주장했다.
ssahn@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