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원태 사장, 경영 전면 나설듯
석태수 사장·우기홍 부사장 등
당분간 전문경영인들이 뒷받침
[ 김보형 기자 ]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이 8일 타계하면서 그의 장남인 조원태 대한항공 사장(44)의 ‘3세 경영’이 본격화할 전망이다. 조 회장도 부친이자 그룹 창업주인 조중훈 회장이 2002년 별세한 다음해인 2003년 그룹 회장에 올랐다. 하지만 취약한 지배구조와 행동주의 펀드의 경영권 공격 등을 감안하면 조 사장의 경영 승계가 순탄치 않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공정거래위원회는 다음달 1일 ‘2019년 자산 5조원 이상 대기업집단 지정 현황’을 발표하면서 한진그룹의 동일인(총수·현 조양호)을 변경할 방침이다.
비상경영체제 가동
한진그룹은 이날 비상경영체제에 들어갔다. 그룹 사장단 회의에서 주요 현안에 대한 의사결정을 하기로 했다. 조 사장은 당분간 석태수 한진칼 사장과 우기홍 대한항공 부사장, 서용원 한진 사장 등 전문경영인들의 조언을 받아 그룹 경영을 이끌어갈 가능성이 크다.
조 사장은 조 회장을 제외한 한진그룹 오너 일원 중 유일하게 경영에 참여하고 있다. 그룹 지주회사인 한진칼과 정보기술(IT) 계열사인 한진정보통신 사장도 겸임 중이다. 서울 소공동 한진빌딩 등을 소유한 정석기업의 사내이사도 맡아 그룹 내 영향력을 확대해왔다.
조 사장은 인하대 경영학과와 서던캘리포니아대(USC) 경영대학원을 졸업한 뒤 2003년 한진정보통신 차장으로 입사했다. 2009년 대한항공의 핵심 부서인 여객사업본부장을 맡았다. 화물사업본부장과 총괄본부장 등 주요 보직을 거쳐 2017년 대한항공 사장에 올랐다. 조 사장은 취임 이후 자신을 사장이 아닌, ‘대표 사원’으로 부르며 임직원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했다. 이 같은 노력 덕분에 2017년 3월엔 조종사 노조가 예고했던 파업을 철회하기도 했다.
지난해 12월 조 회장이 신병 치료차 미국으로 출국하자 올해 시무식과 3월 창립 50주년 기념식을 주관하며 경영 보폭을 넓혀왔다. 조 사장은 한진에 대한 국민적 반감을 의식한 듯 창립 50주년 기념사를 통해 “사회 구성원 모두가 더 나은 삶을 꿈꿀 수 있도록 날개가 되어 대한항공의 새로운 100년을 함께 만들자”고 강조했다.
한진칼 경영권 확보가 핵심
조 사장이 한진그룹 경영권을 승계하려면 조 회장이 소유하고 있는 그룹 지주사인 한진칼 지분(17.84%)을 상속받아야 한다. 한진그룹은 ‘한진칼→대한항공·한진→손자회사’로 이어지는 지배구조를 갖추고 있다. 조 사장(지분 2.34%)과 조현아 전 대한항공 부사장(2.31%), 조현민 전 대한항공 전무(2.30%) 등의 한진칼 지분율은 높지 않다. 재계에선 조 회장이 갑작스럽게 타계한 탓에 경영권을 승계할 시간이 부족했다고 보고 있다.
조 사장의 한진칼 사내이사 임기가 내년 3월 끝나는 점도 변수로 꼽힌다. 사내이사 선임은 ‘주주총회 참석주주 2분의 1 이상 동의’를 받아야 한다. 지난달 27일 대한항공 정기주총에서 조 회장을 대표이사 자리에서 낙마시킨 국민연금(지분율 6.70%)은 아들인 조 사장의 한진칼 이사 재선임에도 반대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재계에선 예상하고 있다.
여기에 지배구조 개선을 요구하는 행동주의 펀드 KCGI(13.47%)가 힘을 합치면 조 사장의 사내이사 연임안 통과를 낙관하기 어렵다는 관측이 나온다. 핵심 계열사인 대한항공 사내이사 임기도 2021년 3월 만료된다. 대한항공 사내이사 선임은 ‘주총 참석주주 3분의 2 이상 동의’를 받아야 하는 특별결의사항이다. 안정적인 지분 확보 없이는 경영권 확보가 쉽지 않은 구조다.
조 사장이 본격적인 ‘경영 시험대’에 올랐다는 관측도 있다. 대한항공은 중·단거리는 저비용항공사(LCC), 장거리는 외국항공사로부터 거센 도전을 받는 중이다. 올 들어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유류비용 부담도 늘어나고 있어 실적 악화 우려가 제기된다.
김보형 기자 kph21c@hankyung.com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