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55.91

  • 48.76
  • 1.95%
코스닥

678.19

  • 16.20
  • 2.33%
1/3

삼성SDS·SDI·전기의 포효…"10兆·1兆 클럽 간다"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올해 실적 고공행진 전망
SDS, 매출 11兆·영업익 1兆
SDI·전기도 이익 급증 예상

삼성전자 중심 매출구조 탈피
SDI, ESS 등으로 수익 다변화
삼성전기는 MLCC가 성장동력



[ 좌동욱 기자 ] 삼성SDS와 삼성SDI, 삼성전기 등 삼성그룹의 전자 계열사들이 ‘매출 10조원, 영업이익 1조원’ 클럽에 줄줄이 가입할 전망이다. 삼성전자에 편중된 매출 구조를 다변화하고 핵심 기술을 키우면서 글로벌 ‘톱 클래스’ 정보기술(IT) 기업으로 발돋움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들 계열사에서 부품 또는 서비스를 공급받는 삼성전자 세트 부문 실적이 부진한 가운데 올린 성과여서 의미가 더 크다는 분석도 나온다.

쑥쑥 늘어나는 실적

20일 국내 증권사 컨센서스(실적 전망치 평균)에 따르면 물류와 시스템통합(SI) 업체인 삼성SDS는 올해 매출 11조원, 영업이익 1조200억원을 거둘 전망이다. 매출은 지난해(10조300억원)보다 9.7% 늘어나고 영업이익(8800억원)은 15.9% 증가하면서 처음으로 매출 10조원, 영업이익 1조원 클럽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됐다. 국내에서 한 해 매출 10조원, 영업이익 1조원 이상을 기록하는 회사는 전체 상장사(금융회사 제외)를 통틀어 20곳 안팎에 불과하다.

배터리 제조 계열사인 삼성SDI도 매출 10조원, 영업이익 1조원 달성을 눈앞에 두고 있다. 올해 매출은 지난해보다 20.7% 늘어난 11조6000억원, 영업이익은 31.0% 증가한 9300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증권업계는 보고 있다. 이 회사 한 관계자는 “갤럭시노트7 배터리 발화 사건으로 9000억원이 넘는 영업적자를 낸 2016년을 생각하면 격세지감”이라고 말했다. 카메라부품 계열사인 삼성전기의 영업이익은 2016년 240억원에서 지난해 1조200억원으로 2년 새 42배 불어났다. 증권가에선 삼성SDI와 삼성전기가 늦어도 내년엔 매출 10조원, 영업이익 1조원을 거둘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삼성전자 의존 탈피

삼성SDS와 삼성SDI, 삼성전기의 실적은 2015~2016년 바닥을 찍고 일제히 반등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 기간 이들 계열사에서 부품과 서비스 등을 공급받은 삼성전자 휴대폰, TV, 생활가전 등 세트 부문 실적은 하향 곡선을 그렸다. 반도체 부문 실적을 뺀 삼성전자의 세트 부문 영업이익은 2016년 15조6000억원에서 2018년 14조3200억원으로 2년 새 8.2% 감소했다. 삼성의 한 관계자는 “‘삼성후자’로 불렸던 전자 계열사들이 모기업인 삼성전자보다 더 좋은 실적을 내는 것은 과거에 볼 수 없던 이례적인 현상”이라고 말했다.

부품 계열사들의 실적이 호전된 가장 큰 이유는 삼성전자에 대한 사업 의존도를 줄였기 때문이다. 삼성SDI는 갤럭시노트7 배터리 발화 사건 이후 원통형 배터리, 에너지저장장치(ESS) 등으로 수익원을 다양화했다. 5년 전 50%가 넘던 삼성전자 매출 의존도는 지난해 25% 미만으로 ‘뚝’ 떨어졌다. 삼성전기는 전자 부품 간 전자파 간섭을 막는 적층세라믹콘덴서(MLCC) 사업을 회사의 ‘캐시카우(현금 창출원)’ 사업으로 키웠다. 과거 PC, 모바일 중심이던 MLCC 사용처는 최근 자동차와 산업용 등으로 다변화되고 있다. 폭증하는 수요 때문에 ‘부르는 게 값’이라는 얘기가 나올 정도다. 삼성전기의 삼성전자 매출 의존도도 40% 미만이다.

자율경영 체제 정착

이들 전자 계열사의 실적 호전이 과거 그룹 사령탑이던 미래전략실 해체와 관련이 있다는 시각도 있다. 미래전략실 해체 이후 계열사별 자율경영 체제가 정착되면서 실적이 우상향 곡선을 그리고 있다는 것이다. 계열사의 전략, 인사, 재무 등 핵심 업무를 총괄했던 미래전략실은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가 터진 2016년 하반기부터 사실상 제 역할을 하지 못했다. 2017년 말 삼성전자 등 3개 주력 회사를 중심으로 계열사 전략과 인사 기능을 조율하는 조직을 만들었지만 과거 미래전략실에 비하면 계열사에 대한 영향력이 축소됐다. 자율경영이 계열사 실적으로 이어졌다는 분석이 나오는 배경이다.

그룹 컨트롤타워 해체에 따른 효과를 제대로 분석하려면 시간을 더 두고 지켜봐야 한다는 반론도 적지 않다. 삼성중공업과 삼성엔지니어링 등 일부 계열사는 미래전략실 해체 후 사업 재편 및 구조조정이 지연되고 있다는 지적도 받는다.

좌동욱 기자 leftking@hankyung.com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