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기 중소규모 택지 조성
서울 대부분 국공유지 활용
마곡 인근·수색역세권 등 관심
경기는 5곳 1만3800가구 조성
상업지 주거용적률 400→600%
늘어난 용적률의 절반 임대 공급
서울시는 그린벨트 지켜내
[ 선한결 기자 ] 국토교통부는 ‘2차 수도권 주택공급 계획’에서 서울 시내 32곳과 경기 5곳 등 330만㎡ 이하 중소규모 택지 37곳의 개발안도 내놨다. 이를 통해 총 3만2520가구를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지난 9월 ‘9·21 수도권 주택공급 확대 방안’에서 3만5000가구 규모 소규모 택지 17곳을 1차 공개한 데 이은 발표다.
▶본지 12월18일자 A1, 25면 참조
서울시는 그린벨트(개발제한구역) 사수에 성공했다. 서울에선 대부분 공급 물량이 도심 국공유지를 활용해 조성된다. 대다수가 교통·생활 인프라가 이미 잘 갖춰져 있는 땅이다. 용산구 한남동 한강진역 공영주차장 부지 7000㎡엔 450가구 공공주택 단지를 조성한다. 서대문구 연희동 유휴부지 4000㎡엔 300가구를 짓는다. 중랑구 북부간선도로는 입체화해 도로 상부에 1000가구를 조성한다.
일부 강남권 ‘노른자 입지’ 부지는 기존 부지 활용 계획을 변경해 새로 포함됐다. 강남구 삼성동의 서울의료원 주차장 부지를 개발해 800가구를 공급할 계획이다. 7000㎡ 규모인 이 부지는 뒤편에 탄천이 흐르고 맞은편엔 현대자동차그룹 글로벌비즈니스센터(GBC)와 코엑스를 두고 있다. 강남구 대치동 양재천 옆인 동부도로사업소 부지(5만3000㎡)엔 총 2200가구 규모 공공주택 대단지가 들어선다.
주거·업무·산업복합단지로 개발 중인 강서구 마곡지구 인근에는 2390가구가 공급된다. 7만3000㎡ 규모 서남 물재생센터 유휴부지를 활용한다. 은평구 수색역세권(2170가구), 성동구 중랑 물재생센터 유휴부지(830가구)에도 SH공사 등을 통해 개발을 추진한다.
군 유휴부지와 노후 공공시설을 활용한 개발안도 예정됐다. 강서구 군부대 부지(1200가구), 서대문구 신촌동 주민센터(130가구), 강동구 천호3동 주민센터(100가구) 등이다.
경기지역 중소규모 택지는 대부분 장기미집행 공원부지를 활용해 대단지를 공급한다. 당초 도시공원 조성 계획이 잡혔지만 재원 부족 등으로 방치돼 2020년 부지 일괄 해제를 앞둔 곳들이다. 부지 70% 이상은 공원을 조성하고 나머지에 주택을 지을 예정이다. 부천 춘의동 부천역곡부지 72만㎡엔 5500가구, 성남 동원동 성남낙생부지 58만㎡엔 3000가구를 조성한다. 고양 탄현동과 안양 비산동 공원부지에는 각각 3000가구, 900가구를 들인다.
국토부는 9월 택지개발안 1차 발표 당시 밝히지 않았던 8곳도 추가 공개했다. 서초구 염곡 일대 7만2000㎡에 1300가구를 짓는다. 그린벨트 지역이 아니라 자연 녹지로, 기존엔 주차장 인근 유휴부지였던 곳이다. 광운역세권과 도봉구 성대야구장 일대 19만7000㎡는 4130가구 규모 대단지로 개발한다.
중소규모 택지는 내년부터 차례로 주택사업승인·착공 등 절차를 거쳐 2020년 주택 공급이 시작될 전망이다. 이번 발표 지역 대다수를 차지하는 100만㎡ 이하 소규모 택지는 별도 지구 지정 절차를 거치지 않아도 된다. 100만~330만㎡ 중규모 택지는 내년 하반기 지구 지정을 완료하고 2021년 주택 공급에 나설 예정이다.
서울시는 이날 중소규모 택지 개발 외에도 용적률·용도지역 상향 등을 통해 3만 가구 이상을 추가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앞으로 3년간 상업지역 주거 용적률을 기존 400%에서 600%로 상향을 허용한다. 증가 용적률의 절반만큼을 임대주택으로 공급하게 한다는 조건이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상업·준주거지역 주거비율을 확대하고 역세권 용도지역을 상향하는 등 도심 내 고밀 개발을 추진할 것”이라며 “소규모 정비 사업 시행 시 공공주택을 도입하면 층수 제한을 완화해 사업성을 높이는 방식도 도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선한결 기자 always@hankyung.com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