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서 활동 참진드기 30종
소·길고양이·반려견 등서 발견
기후변화로 활동범위 확대
기온 1.6도↑ 개체수 4배↑
2013년 첫 환자 발생 이후
사망자 해마다 늘어
[ 박근태 기자 ] 지난 4월 충남 청양군에서 올 들어 처음으로 야생 진드기에 물려 숨진 환자가 나왔다. 지난달 경기 양평에서 숨진 80대 노인도 진드기에 물려 사망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들은 야생 진드기가 옮긴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됐다.
야생 진드기에 물려 SFTS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는 2013년 5월 처음 보고된 이후 지난해까지 607명에 달하며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감염환자 중 127명이 목숨을 잃으면서 불안이 점차 확산되고 있다.
서울 역삼동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11일 열리는 제6회 국민생활과학기술포럼에서는 채준석 서울대 수의과대 교수와 이재갑 한림대 의대 교수 등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해마다 심각해지는 국내 진드기 매개 감염병 현황과 대응 방안을 소개한다.
매복했다가 숙주에 달라붙어
SFTS를 옮기는 진드기를 흔히 ‘살인 진드기’ ‘야생 진드기’라고 표현하지만 참진드기가 정확한 명칭이다. 국내에선 아직 용어가 정해지지 않아 작은소진드기와 작은소참진드기, 작은소피참진드기로 불리기도 한다. 세계적으로 진드기는 760종 이상 발견됐다. 국내에 보고된 참진드기는 30종에 이른다.
참진드기는 물을 싫어한다. 풀잎에 아침이슬이 사라지고 햇빛이 쨍쨍할 때 풀숲에서 기어나온다. 풀 끝에 한참을 조용히 매달려 있다가 지나가는 사람이나 동물 같은 숙주에 달라붙는다.
진드기는 숙주를 찾아내기 위해 특별한 방법을 쓴다. 숙주가 내뿜는 이산화탄소를 감지하거나 잎 끝에 가만히 매달려 있다가 달려드는 ‘매복작전’이다. 참진드기에는 숙주가 지나갈 때 발생하는 공기 진동을 감지하는 기관이 달려 있다. 참진드기가 숙주에 달려드는 건 순식간이다. 몸 길이 대비 이동 거리로 환산하면 야생에서 가장 빨리 달리는 치타보다 17배 빠르다. 이는 사람으로 따지면 초속 563m로 달리는 것과 같다.
참진드기는 평생 세 번 피를 빤다. 유충과 약충(어린 개체), 성충 단계를 지나며 한 번씩 숙주의 피를 마신다. 사람 외에도 야생 조류, 들쥐, 토끼, 사슴, 멧돼지의 피를 빤다. 야생동물이 살거나 소나 말을 방목하는 목장은 진드기가 가장 좋아하는 서식지다. 돼지나 염소보다는 소가 SFTS 바이러스에 감염될 확률이 높다. 야생동물 중에선 멧돼지나 고라니의 감염률이 높다.
진드기는 숙주 피부에 상처를 내고 마취 성분과 함께 피가 굳지 않도록 항응고제를 넣는다. 이 과정에서 바이러스가 숙주로 넘어간다. SFTS 바이러스는 지름이 80~100㎚인 공 모양 바이러스다. 이들 바이러스가 혈소판에 달라붙으면 대식세포가 이를 먹어치우면서 혈소판감소증을 유발한다.
피를 빤 성충 진드기는 평상시보다 몸 크기가 몇 배 늘어난다. 숙주에 한 번 달라붙은 진드기는 잘 떨어지지도 않는다. 진드기는 평소 이동할 때 발바닥을 접었다가 숙주에 몸을 고정할 때는 발바닥을 펴서 접촉면을 넓힌다. 발바닥에서는 잘 달라붙는 분비물이 나온다.
4~6월 비탐방로 위험해
참진드기의 주요 활동 시기는 3~11월이지만 최근에는 겨울철 야생에서 활동하는 사냥개나 길고양이에서도 발견됐다. 2016년 서울 동대문구와 성동구 용산구 마포구 구로구 금천구 강남구 일대에서 유기 고양이를 포획해 중성화 수술을 시키는 과정에서 일부 고양이가 감염된 것으로 확인됐다.
진드기 서식지는 한반도 기후가 아열대로 바뀌면서 확대되고 있다. 기온이 올라가고 강수량이 줄어들면 진드기가 살기에 좋은 환경이 된다. 평균 기온이 1.6도 올라가면 진드기 개체는 네 배로 늘어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SFTS 바이러스가 어떻게 국내로 넘어왔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바이러스 유전자 서열을 분석한 결과 중국 남부 저우산섬과 일본에서 발견되는 바이러스와 사촌뻘이란 사실 정도가 알려졌다.
SFTS는 예방백신과 치료제가 없다. 전문가들은 야외활동 시 진드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최선의 예방법이라고 말한다. SFTS는 진드기의 활동이 활발한 4월부터 6월 사이에 감염될 확률이 높다. 성충보다는 유충과 약충에 물렸을 때 감염될 가능성이 높다.
참진드기는 해발 고도 100~500m에서 주로 발견된다. 산행을 하더라도 가급적 탐방로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SFTS 바이러스가 인간과 동물 간, 동물 간 접촉으로 감염되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체액 접촉을 통해 사람 간 감염이 가능하다는 사실은 확인됐다.
박근태 기자 kunta@hankyung.com
[ 무료 주식 카톡방 ] 국내 최초, 카톡방 신청자수 38만명 돌파 < 업계 최대 카톡방 > --> 카톡방 입장하기!!
40억 "이것"통해 벌었다는 남성 알고보니 "개인파산"한 개그맨 A씨?
2분기 이끌 新대장주 BEST 5 억대계좌 이종목에서또 터진다! >> [바로확인]
터졌다! 매집주130%수익은 시작일뿐 연일上한가! 종목 또 적중! 500% 황제주 선취매 타임 전격 大공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