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55.91

  • 48.76
  • 1.95%
코스닥

678.19

  • 16.20
  • 2.33%
1/3

"이번에 달라질까" 남북정상회담 앞두고 주목받는 비무장지대 민간인 마을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조미현 정치부 기자) 오는 27일 남북한 정상회담을 앞두고 청와대 출입기자들이 정상회담이 열리는 판문점 평화의 집을 지난 18일 방문했습니다. 남방분계선에서 2㎞ 거리인 비무장지대를 지나야 판문점에 도착할 수 있습니다. 남방분계선과 비무장지대, 판문점까지 이어진 이 길은 ‘목포부터 신의주까지’ 잇는 ‘제1번 국도’ 입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남북 정상회담 때 육로로 이동한다면 이 길을 지나야 합니다.

비무장지대는 국유지로 수렵이나 채집이 불가능합니다. 통신도 제대로 터지지 않는데요. 그럼에도 비무장지대에는 사람이 사는 마을이 있습니다. ‘자유의 마을’로 불리는 대성동 마을입니다.

대성동 마을은 원래 경기도 장단군에 위치한 농촌이었습니다. 6·25 전쟁 때 큰 피해를 입었는데요. 1953년 8월 ‘비무장지대 내 남과 북이 각각 하나의 마을을 두고 거주 및 영농활동을 할 수 있다’는 정전협정에 따라 한국 정부와 유엔사의 지원을 통해 재건됐습니다.

대성동 마을에는 현재 47세대 197명의 사람들이 살고 있습니다. 주로 대성동 마을에 대대로 살아온 사람들입니다. 이들은 비무장지대에서 경작을 하면서 생활한다고 합니다. 대성동 마을에 사는 사람들은 외부를 나갔다가 들어올 수는 있지만 1년에 8개월은 무조건 마을에서 자야합니다. 예외도 있는데요. 바로 중·고등학생입니다. 마을에 중·고등학교가 없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이같은 각종 제약을 받는 탓에 정부로부터 병역의무 면제 등의 혜택을 받습니다.

대성동 마을로 이주할 수는 없습니다. 한가지 예외가 있는데 대성동 마을에 사는 남자와 결혼한 여자는 이주가 가능합니다.

대성동 마을에는 유치원과 초등학교는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어린 아이들이 적은 탓에 폐교의 위기에 있었는데요. 대성동 마을 사람들의 요구로 학교를 유지하기 위해 외부 아이들이 다닐 수 있게 유엔사가 허가했다고 합니다. 학생 정원은 30명인데 선생님만 15명이라고 하네요. 전인교육으로 유명해서 인근 지역 학부모의 선호가 높다고 합니다.

북한에도 대성동 마을처럼 비무장지대 내 마을이 있습니다. 기정동 마을인데요. 1982년에 조성된 기정동 마을 역시 현재 일반 주민들이 거주하고 있다고 합니다. (끝) / mwise@hankyung.com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