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84.06

  • 7.99
  • 0.29%
코스닥

838.65

  • 3.47
  • 0.41%
1/3

[사설] 대통령과 청와대 참모, 기업인 많이 만날수록 일자리 더 나온다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사설] 대통령과 청와대 참모, 기업인 많이 만날수록 일자리 더 나온다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문재인 대통령이 내년 1월 초 경제계 신년인사회에 불참을 통보하면서 재계가 당혹스러워하고 있다. 1962년 시작된 이 행사에는 기업인을 중심으로 주한 외교사절과 관료 등 1000여 명이 참석한다. 특별한 예외는 있었지만 매년 대통령이 나와 주요 정책방향을 설명하며 기업인들 사기를 북돋워왔다.

청와대는 “(대통령 일정에서) 국회의장, 대법원장 등이 참석하는 청와대 행사와 통합했다”고 설명하지만, 재계가 아쉬워하는 이유를 진지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문재인 정부 7개월여 동안의 ‘친(親)노조’ 행보를 돌아보면 재계의 걱정이 근거 없는 게 아니다.

기업인을 비롯한 경제계 인사들과 대통령의 자연스런 만남은 많을수록 좋다. 정책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서도 그렇고, 청와대가 강조해온 소통 강화 차원에서도 그렇다. 더구나 현 정부는 ‘일자리 정부’를 자임하고 있다. 정부 출범 직후 일자리위원회부터 만들어 대통령 스스로 위원장도 겸했다.

이 위원회의 지향점이 ‘일자리를 늘리고, 고용의 질은 높인다’다. 이 일을 누가 실행하나. 바로 기업이다. 특히 청년들 눈높이에 맞는 ‘지속가능하고 버젓한 일자리’는 주로 대기업에서 나온다. 대통령과 기업인들 만남이 ‘소통 강화→투자 확대→일자리 창출’로 이어질 것이라는 기대와 예상은 자연스런 일이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국정과제 회의 때마다 게이단렌 회장 등 기업 CEO를 참석하게 하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기업 인사를 백악관 경제자문위원장에 임명했으며,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경제·경영단체장들과 일대일 면담을 한 것도 결국은 그런 의도일 것이다.

대통령이 재계와 거리를 두면 청와대 참모와 기업인들의 의견 교환도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 일자리 창출을 위한 청와대와 재계의 만남은 잦을수록 좋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