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22.67

  • 33.17
  • 1.23%
코스닥

866.18

  • 15.43
  • 1.81%
1/3

[사설] 동남아서 감사 인사받은 '근면·자조·협동' 새마을 정신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사설] 동남아서 감사 인사받은 '근면·자조·협동' 새마을 정신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문재인 대통령이 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 10개국 정상회의(13일)에서 새마을운동 지원에 대해 감사 인사를 받았다고 한다. 문 대통령은 곧바로 참모들에게 “전(前) 정부 추진내용이라도 성과가 있으면 지속적으로 추진하도록 여건을 조성해 달라”고 지시했다. 국내에선 예산 삭감, 사업 축소 등 ‘새마을 지우기’ 논란이 벌어지는데 예상외의 반전이다.

새마을운동은 1971년 박정희 대통령 때 ‘근면, 자조, 협동’을 모토로 시작한 빈곤 퇴치, 의식 개혁 운동이다. 스스로 노력하는 마을에 집중 지원하는 방식으로 ‘자조(自助) 경쟁’을 유도해 농촌의 근대화를 이뤘다. 나태와 자포자기 대신 ‘할 수 있다(Can Do)’는 정신은 최빈국을 50년 만에 원조하는 나라로 변신시킨 밑거름이 됐다. 이는 자화자찬이 아니라 세계적 경제학자 제프리 삭스의 평가다. 유엔 세계식량계획(WFP) 등도 세계 빈곤퇴치 모델로 채택했을 정도다.

동남아, 아프리카, 중남미 개발도상국들은 새마을운동을 도입해 주거·식수는 물론 환경 탓만 하던 국민 의식까지 바꾸고 있다고 한다. 40여 년간 147개국 6만여 명이 한국을 찾아 새마을 교육을 받았고, KDI 국제대학원과 영남대 새마을연구센터 등에서의 개도국 공무원 연수도 줄을 잇는다. 엘리트들이 돌아가 전파하고, 아세안 정상들까지 고마움을 표시한 새마을운동은 두고두고 든든한 외교 자산이 될 것이다.

경제발전이 절실한 아세안 회원국들은 진심으로 한국의 성공모델을 배우고 싶어 한다. 그곳 지식인 사이에선 서울대 공대 교수들이 공동집필한 《축적의 시간》이 필독서가 됐다. 정작 한국은 거꾸로 간다. 앞서가면 발목에 모래주머니를 채우고, 어른의 조언을 ‘노오오~력’이라고 폄훼하는 게 현실이다. 오히려 우리가 새마을 정신을 역수입해야 할 판이다.

역대 정부마다 공(功)도 있고 과(過)도 있다. 과는 경계하되, 공은 계승·발전시키는 게 미래로 나아가는 자세다. 새마을운동도 마찬가지다. ‘누가 했느냐’가 아니라 ‘무엇을 바꿨느냐’가 중요하다. 새마을정신은 문재인 정부의 ‘더불어 잘사는 사람중심’ 국정 철학과도 통한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