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689.50

  • 27.40
  • 1.03%
코스닥

850.75

  • 4.91
  • 0.58%
1/2

산림청 국립수목원, 부전투구꽃 등 3종 북한식물 '남한자생지' 확인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산림청 국립수목원, 부전투구꽃 등 3종 북한식물 '남한자생지' 확인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강원도 정선과 태백일대 해발 1200m~1500m에서 확인한 북한식물 부전투구꽃 자생지. 국립수목원 제공


산림청 국립수목원이 북한 식물인 부전투구꽃, 개마투구꽃, 물뱀고사리 등 3종의 남한 자생지를 확인했다. 그동안 중국과 북한 함경북도에만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진 이들 3종 식물의 남한 자생지 확인은 처음이다.

국립수목원은 이들 3종의 남한 자생지 확인으로 생태계 훼손이 심각한 북한 산림식물 다양성을 보전하고 복원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국립수목원은 산림생물표본관 소장 표본 연구 과정에서 부전투구꽃 등 북한 식물 3종에 대한 남한 자생지를 발견했다고 24일 발표했다. 식물 표본으로 실체를 확인한 국립수목원 연구팀은 이를 토대로 강원도 정선, 태백, 평창, 홍천 일대를 조사하여 남한 자생지를 확인했다.

산림생물표본관은 2003년 경기 포천의 국립수목원에서 개관했다. 표본관에는 한반도를 비롯한 인접 국가들의 식물, 곤충, 버섯 및 지의류 표본 약 100만점을 소장하고 있다.

부전투구꽃과 개마투구꽃은 1930년대 함경남도 신흥군 부전령, 장진군과 강원도 금강산 비로봉 등에서 채집된 표본을 기준으로 1938년 한반도에서 최초로 기록된 식물이다. 물뱀고사리도 중국과 북한의 함경북도에만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한반도에서 북한에만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식물들은 남북 단절로 인해 정확한 실체와 생육 정보 확인에 한계가 있어 연구에 어려움이 있었다. 국립수목원은 이번에 북한 자생식물의 남한 자생지 확인이 한반도의 자생식물에 대한 이해를 정확히 하는데 중요한 정보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국립수목원은 1999년 개원 이후부터 한반도 식물에 대한 정확하고 영구적인 기록을 위하여 전국 식물상을 직접 조사하여 증거 자료로서의 식물 표본을 제작하고 국내외 흩어져 있는 한반도 표본과 식물상 자료들을 모아 연구하고 있다.

국립수목원 연구팀은 이 3종의 식물을 지속적으로 연구하여 새로운 자생지에 대한 추가 조사 및 현지 생육지 특성 분석, 분류적으로 유사한 종들과의 비교 연구를 통해 이 식물들을 보전 가치를 규명해 나갈 계획이다.

이유미 국립수목원장은 “북한 식물의 남한 자생지 발견은 산림과 생태계 훼손이 심각한 북한의 상황을 고려했을 때, 북한 산림식물 다양성을 보전하고 복원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포천=윤상연 기자 syyoon1111@hankyung.com



기업의 환율관리 필수 아이템! 실시간 환율/금융서비스 한경Money
[ 무료 카카오톡 채팅방 ] 국내 최초, 카톡방 신청자수 32만명 돌파 < 업계 최대 카톡방 > --> 카톡방 입장하기!!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