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682.52

  • 46.00
  • 1.74%
코스닥

844.72

  • 4.74
  • 0.56%
1/2

'빌게이츠재단'도 러브콜…'메이드 인 코리아' 백신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빌게이츠재단'도 러브콜…'메이드 인 코리아' 백신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빌게이츠재단, LG화학에 소아마비백신 개발비 지원
장티푸스는 SK케미칼 낙점

녹십자, WHO에 납품



[ 전예진 기자 ] 한국의 백신 개발 기술이 세계에서 인정받고 있다.

LG화학은 7일 미국 빌앤드멀린다게이츠재단에서 신규 소아마비 백신 개발을 위해 1260만달러(약 140억원)를 지원받는다고 밝혔다. 국내 제약업체가 받은 백신 개발 지원금 규모로는 역대 최대다.

LG화학은 올해부터 2020년까지 ‘불활화(不活化) 소아마비 백신’의 해외 임상시험과 충북 오송 백신 전용 공장의 생산설비 확장에 지원금을 활용할 계획이다. 불활화 소아마비 백신은 세균·바이러스를 열이나 화학 약품으로 죽이거나 생리활동을 정지시켜 독성을 없애고 항원성만 남긴 백신을 말한다. 그동안 병을 일으키는 기능을 약하게 만든 세균·바이러스 균주를 살아있는 상태로 쓰는 백신(약독화 생백신)을 사용했지만 백신에서 생긴 돌연변이 바이러스가 소아마비를 일으킬 위험이 제기되면서 불활화 소아마비 백신이 권장되고 있다. 그러나 불활화 소아마비 백신은 생산기술 수준이 높고 국제 규격에 부합하는 생산시설이 많지 않아 세계적으로 백신 공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LG화학은 2014년부터 개발 중인 불활화 소아마비 백신의 임상 2상을 진행하고 2020년 세계보건기구(WHO)의 사전적격성평가(PQ) 인증을 받는다는 계획이다. 개발한 백신은 국내 오송 공장에서 생산해 글로벌 시장에 공급한다. 손지웅 LG화학 생명과학사업본부장은 “1990년대부터 백신 개발에서 축적한 연구개발(R&D) 역량과 우수한 생산 능력을 인정받은 것”이라고 말했다.

해외에서 우리나라 백신의 수주 낭보도 이어지고 있다. 녹십자는 지난 3월 WHO 산하 범미보건기구(PAHO)의 올해 중남미지역 의약품 입찰에서 3700만달러(약 410억원) 규모의 독감백신 수주에 성공했다. 1월에는 PAHO의 2017~2018년 수두백신 입찰에서 6000만달러 규모의 수두백신을 수주했다. SK케미칼은 지난달 국제 비영리단체 PATH와 차세대 소아장염백신 개발 계약을 체결했다. 지난해 독감백신 수출을 위한 WHO 생산시설 실사를 마치고 추가 인증을 진행하고 있다. 빌앤드멀린다게이츠재단은 2014년 장티푸스 백신을 개발하는 SK케미칼에 490만달러(약 54억원)를 지원했다.

전예진 기자 ace@hankyung.com




기업의 환율관리 필수 아이템! 실시간 환율/금융서비스 한경Money
[ 무료 카카오톡 채팅방 ] 국내 최초, 카톡방 신청자수 30만명 돌파 < 업계 최대 카톡방 > --> 카톡방 입장하기!!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