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55.91

  • 48.76
  • 1.95%
코스닥

678.19

  • 16.20
  • 2.33%
1/3

전국 사업장 10곳 중 4곳은 여사장…사업체수, 경기도가 서울 첫 추월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통계청, 전국 사업체 387만개 전수 조사해 보니…

보건복지 종사자 80%가 여성
숙박·교육·보험은 여초산업

제조업 성장세 주춤
부동산·임대업 매출 급증



[ 황정수 기자 ] 여성의 산업계 진출이 활발해지고 있다. 국내 사업체 대표의 약 40%, 보건·사회복지업 종사자의 80%가량이 여성인 것으로 조사됐다. 경제 성장의 근간이던 제조업 성장세는 주춤해졌다. 부동산·임대업과 사업시설관리 등 일부 서비스업 매출 증가율이 제조업을 크게 앞질렀다. 사업체 수는 경기가 서울을 처음으로 추월했다.


공공행정 여성 비중 증가

통계청이 상근 직원 1명 이상인 전국 사업체를 전수 조사해 21일 발표한 ‘2015년 기준 경제총조사 잠정결과’에 따르면 여성이 대표인 사업체는 전체(387만5000개)의 37.6%인 145만6000개로 집계됐다. 첫 조사를 한 2010년보다 15.5% 늘었다. 조사 대상 19개 업종 중 예술·스포츠·여가업 사업체 수만 5년 전보다 1.9% 감소했다. 당구장과 노래방 감소에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영향까지 겹쳤기 때문이란 분석이다.

‘여사장님’ 비율은 2010년(37.2%)보다 0.4%포인트 상승했다. 숙박·음식점업(62.2%), 교육서비스업(54.4%)에선 여사장이 남사장보다 많았다. 전체 사업체 종사자 가운데 여성은 42.3%인 878만6000명이었다. 여성 종사자 비율은 5년 전(41.1%)보다 1.2%포인트 높아졌다. 보건·사회복지업 종사자 10명 중 8명이 여성이었고 숙박·음식점업(63.6%) 교육서비스업(63.5%) 금융·보험업(55.1%)도 ‘여초’ 산업으로 조사됐다. 여성 비중이 5년 전보다 많이 커진 산업은 전기·가스·수도(3.2%포인트 상승), 공공행정(3.1%포인트) 등 ‘공적 영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공정거래위원회 심판총괄담당관실 등 중앙부처 과(課) 중에 직원의 70% 이상이 여성인 곳도 많았다.

서울에서 경기로 떠난 사업체들

중앙정부부처의 세종 이전, 공공기관의 지방 이전에도 수도권 쏠림 현상은 여전했다. 수도권 사업체의 지난해 매출(2921조5200억원)은 전체 매출의 55.1%를 차지했다. 수도권 사업체 및 종사자 비중도 각각 47.4%(183만5000개)와 51.4%(1068만6000명)에 달했다.

수도권에선 경기도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경기도 사업체는 82만8000개(21.4%)로 서울(82만1000개·21.2%)을 처음으로 앞질렀다. 김대호 통계청 경제총조사과장은 “서울에서 사업하려면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경기 외곽지역으로 이동하는 사업체가 많아졌다”고 설명했다.

충북 전북 전남 경북 경남의 사업체는 5년 새 17.1~17.9% 늘었다. 수도권 증가율(16.1%)보다 높은 수치다. 하지만 5개 도(道) 중 매출 증가율이 수도권(24.5%)보다 높은 곳은 한 곳도 없었다.

제조업 매출 증가율, 산업 평균 밑돌아

제조업의 위상은 여전했지만 성장세는 둔화했다. 지난해 제조업 매출(1711조5000억원)이 전체 매출(5302조9000억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2.3%로 19개 산업 중 가장 컸다. 하지만 2010년(33.8%)보다는 비중이 낮아졌다. 매출 증가율도 16.9%로 전 산업 평균(22.4%)을 밑돌았다. 성장 속도가 느려지면서 전체 고용에서 차지하는 제조업의 비중(19.4%)도 정체했다.

부동산·임대업은 두각을 나타냈다. 작년 매출은 2010년 대비 65.7% 급증해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통계청 관계자는 “2013년 이후 부동산 경기가 좋았기 때문에 주거용 건물 개발, 건물 관리업체 등의 매출이 크게 증가했다”며 “임대업 쪽에선 부동산뿐만 아니라 웅진코웨이 같은 임대업체가 성장한 게 영향을 줬다”고 말했다.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업은 해외여행업, 콜센터·텔레마케팅 업종의 성장세 덕에 매출이 60.4% 늘었다. 보건·사회복지업의 매출도 55.4% 불어났다. 정부 복지정책을 강화한 효과가 나타났다는 분석이다.

황정수 기자 hjs@hankyung.com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