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현대·LG 1세대 연구소
과거 '국가 싱크탱크' 역할, 이젠 자기 기업 연구에 집중
조창걸 회장·서경배 회장 등 기업인 이름 걸고 재단 만들어
"국가와 사회 위한 연구하라"
[ 김용준 기자 ] 삼성 한화 CJ의 기업 이념은 사업보국(事業報國)이다. 매일유업은 낙농보국, 동원그룹은 수산보국, 오뚜기는 식품보국을 내걸었다. 기업이 이뤄야 할 가치 맨 앞줄에 국가가 나온다. 식민지 시대, 가난과 배고픔의 시대에 기업을 시작한 창업자의 소망이 담겨 있다. 기업을 일궈 나라에 보답하는 것. 이들은 소망대로 기업을 키웠다. 일자리도 만들었다. 배고픔과 가난의 시대를 끝냈다. 세금을 내 국가를 운영할 재정적 기초를 닦았다.
이 과정에서 실수와 불법, 편법도 있었다. 반기업 정서를 만든 장본인이라고 손가락질을 받기도 했다. 그러나 한국의 기업가들은 또 다른 도전을 통해 보국에 나서고 있다. 국가의 미래를 밝히겠다고 사재를 내놓기 시작했다. 국가 전략을 구상할 싱크탱크, 한국이 취약한 기초기술을 연구할 연구재단 등이 이들의 손에 의해 잇따라 탄생하고 있다.
중견기업에서 대기업으로 성장한 한샘의 조창걸 명예회장, 아모레퍼시픽의 서경배 회장이 출범시킨 연구소와 재단이 그것이다. 인터파크 창업자 이기형 회장, 락앤락 김준일 회장도 재단을 세웠다.
앞서 대기업들도 연구소를 만들었다. 삼성 현대 LG 포스코 KT 등 대기업이 돈을 냈다. 이들 연구소는 한때 정부가 만든 싱크탱크와 어깨를 나란히 하기도 했다. 지금도 간혹 국가 아젠다를 제시한다. 하지만 더 많은 비중은 자기 기업을 위한 연구에 할애한다.
새로운 연구소들이 대기업 연구소와 다른 것은 기업연구소란 호칭을 거부한다는 점이다. 기업이 돈을 낸 것이 아니라 기업인이 자신의 돈을 냈기 때문이다. 더 중요한 이유가 있다. 돈을 낸 기업인들의 기업을 위해 연구하지 않는 게 차이점이다.
조창걸 한샘 명예회장은 당초 싱크탱크 여시재의 이사회 멤버로 참여했다. 직접 책임을 지겠다고 했다. 그러나 여시재가 한샘을 위한 싱크탱크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자 망설임없이 이사직을 내려놨다. “여시재는 한샘을 위한 연구소가 아니라 국가를 위한 연구소가 돼야 한다. 한치의 오해가 없도록 해야 한다”는 게 사임 이유였다. 여시재는 조 회장의 위기감과 기업가정신이 맞물려 탄생했다. 그는 중국의 성장, 일본의 보수화, 미국의 위상 변화 등이 자칫 한국을 구한말과 같은 위기에 빠뜨릴 수 있다고 했다. 새로운 국가전략이 필요하다며 싱크탱크를 위해 재산의 절반을 내놨다.
서경배 아모레퍼시픽 회장은 한국이 가장 취약한 생명과학 기초연구를 위해 사재를 털었다. 자신의 이름을 걸고 기초과학 연구를 책임지겠다며 명함도 ‘서경배과학재단 이사장’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