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631.38

  • 8.09
  • 0.31%
코스닥

771.58

  • 1.32
  • 0.17%
1/4

역대 대통령 왜 사저 논란 일어나나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위상과 대우, 대통령 전 보다 판이한 차이

경호동도 지어야 하고, 비서진 근무 공간 있어야

‘아방궁’에 비유되면서 정치적 공방 성격도



대통령이 퇴임 이후 거주하는 사저(私邸·개인주택)가 정권마다 논란이 일었다. 무슨 문제 때문일까.

박근혜 대통령 퇴임 이후 살게 되는 사저 문제를 놓고 청와대와 박지원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장이 연일 공방을 벌였다. 청와대가 박 대통령의 서울 삼성동 사저가 아닌 다른 곳을 물색 중이라고 박 위원장이 의혹을 제기하면서 논란이 불거졌다. 이재만 청와대 총무비서관이 국가정보원에 지시해 대통령이 퇴임 후 돌아갈 사저를 찾고 있었다는게 박 위원장의 주장이다. 청와대는 박 대통령이 퇴임 후 대통령이 되기 전 살았던 삼성동 사저로 돌아갈 것이라며 “더 이상 사저를 정치 공세 대상으로 삼지 않기를 바란다”고 반박했다.

최규하·노태우 전 대통령을 제외하고 역대 대통령 대부분 임기 말 사저 논란이 불거지면서 정치권 공방의 대상이 됐다. 전두환 전 대통령의 서울 연희동 자택 규모는 818㎡(약 247평)이다. 임기 말 대대적으로 개·보수했다. 당시 역대 대통령 사저 중 가장 넓어 ‘연희궁’이라고 불리기도 했다.

김영삼 전 대통령은 임기말 376.8㎡(약 114평)규모로 서울 상도동 옛 집터에 사저를 신축했다. 집이 붕괴 위험이 있다는 진단을 받으면서 새로 지었다. 외환위기 중에 사저를 신축하면서 비난에 시달렸다. 김대중 전 대통령은 588.4㎡(약 178평) 규모의 서울 동교동 사저를 신축했다. 한나라당(현 새누리당)은 당시 “방 8개, 욕실 7개, 거실 3개로 구성돼 호화판 ‘아방궁’을 짓고 있다”고 비판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은 고향인 경남 봉하마을에 4261.1㎡(약 1289평)규모의 사저를 신축해 한나라당의 거센 비판을 받았다. 사저와 그 주변을 합쳐 ‘노무현 타운’이 조성된다는 말까지 나돌았고, 역시 ‘아방궁’에 비유되기도 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은 임기말 내곡동 사저 논란이 불거졌다. 사저 부지 매입 과정에서 다운계약서 의혹과 부동산실명제 위반, 편법 증여 등의 의혹들이 잇달아 제기됐다. 특검으로까지 이어졌고, 내곡동 사저 계획은 취소됐다. 이 전 대통령은 결국 원래 살던 논현동 사저로 돌아갔다.

전직 대통령 사저가 논란이 되는 가장 큰 이유는 경호 문제 때문이다. 대통령이 되기 전 살던 집은 경호가 필요없었기 때문에 그리 큰 공간이 필요하지 않았다. 그러나 대통령 퇴임 이후엔 도심 주택은 경호하기가 여의치 않다. 이 전 대통령이 내곡동으로 가려 했던 이유다. 또 경호시설과 퇴임 후 보좌할 비서진들 주거 공간도 필요하기 때문에 이전에 살던 주택보다 더 넓은 땅이 필요하다.

대지 484㎡(약 161평)에 건물 317㎡(약 105평) 규모의 2층짜리 단독주택인 박 대통령의 삼성동 사저에는 주변에 경호동을 지을 만한 여유 부지가 없다. 만약 부지가 없어 경호동을 새로 짓지 못한다면 주변의 건물을 매입해 경호동으로 사용하는 방법도 있다는게 청와대 측의 설명이다.

이 전 대통령의 논현동 사저 경호동은 이런 방식으로 지어졌다. 김대중 전 대통령의 동교동 사저는 인근 부지를 매입, 경호동을 지었다.

홍영식 선임기자 yshong@hankyung.com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모바일한경 구독신청] [한 경 스 탁 론 1 6 4 4 - 0 9 4 0]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