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9…8년 새 44% 줄어
자동화·경기침체 등이 원인
[ 문혜정 기자 ] 건설업의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큰 폭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성 향상과 경기 침체, 외국인 근로자 유입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풀이되고 있다.
2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국토연구원이 작성한 ‘국토교통 분야 산업·직업별 고용현황 조사 및 분석’에서 건설업 고용계수는 2006년 10.7명에서 2014년 5.9명으로 44.9% 떨어졌다. 고용계수는 해당 산업에서 10억원 규모의 산출물을 만드는 데 투입하는 상용·임시노동자 수를 말한다. 고용계수가 5.9명이면 10억원을 생산할 때 노동자 5.9명이 필요했다는 의미다.
국내총생산(GDP)의 14% 안팎을 차지하는 건설업의 고용유발계수도 2006년 15.2명에서 2014년 10.2명으로 32.8% 줄었다. 고용유발계수는 해당 산업에서 10억원 규모의 산출물을 생산할 때 해당 산업뿐만 아니라 전 산업에서 직간접 투입된 노동자 수를 나타낸다.
연구원은 건설업의 일자리 창출 능력이 줄어든 가장 큰 원인으로 생산성 향상을 꼽았다. 굴착기나 크레인 등 건설기계 활용이 늘면서 필요한 노동자가 줄었다는 것이다. 경기 침체와 외국인 노동자 증가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국토연구원 측은 “저가 수주와 불법 하도급 영향으로 내국인 노동자는 감소하고 불법 취업한 외국인은 늘어났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건설업 취업자 수가 대규모 사회간접자본(SOC) 공사보다 건물 수리 공사 등의 증감에 더 큰 영향을 받았다고 분석했다. 연구진은 “기존 시설물 및 주택의 유지·보수 수요가 2020년 이후 급증하고 저비용 주택 리모델링 시장도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문혜정 기자 selenmoon@hankyung.com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모바일한경 구독신청] [한 경 스 탁 론 1 6 4 4 - 0 9 4 0]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