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599.54

  • 16.27
  • 0.63%
코스닥

736.07

  • 8.66
  • 1.19%
1/3

[한경에세이] 과학인재 강국을 꿈꾸며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과학인재 강국을 꿈꾸며귀국 꺼리는 해외 과학 인재
생활·진로고민 부담 해결해야
애국심에만 호소할 시대 지나
과학자 처우·위상 변화 시급해

신용현 < 한국표준과학연구원장 yhshin@kriss.re.kr >



최근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주관으로 미국 주요 대학에서 정부출연연구기관 채용 설명회가 열렸다. 많은 학생이 관심을 보였고, 그중 우수 인재를 찾아내는 소기의 성과를 거뒀다.

하지만 적지 않은 학생들이 귀국에 대한 부담감을 토로했다. 주택 마련과 교육, 근무복지, 이직 유연성 등이 귀국을 망설이게 하는 요인이었다. 한국의 미래를 이끌 젊은 예비 과학자들이 연구보다 생활 문제로 더 고민하는 게 선배 과학자로서 마음이 아팠다. 미국과학재단에 따르면 미국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한국인 중 절반가량이 “귀국 의사가 없다”고 한다.

광복 후, 자원빈국임에도 불구하고 가파른 경제성장을 이룰 수 있던 건 과학기술 때문이었다. 1960~1970년대 정부의 적극적인 해외 인재 유치정책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당시 정부는 해외에서 데려온 과학자들에게 경제적, 사회적으로 파격적 대우를 아끼지 않았다.

지금은 어떤가. 과학자들은 “처우가 낮아지고 있다”고 느낀다. 연구 효율화가 강조되면서 특허 획득이나 기술이전 가능성이 높은 연구 분야는 단기간에 가시적인 성과를 내야 하는 부담감에 힘들어 한다. 순수 기초과학을 연구하는 이들도 과제 수주나 연구 성과 압박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게다가 과학에 대한 국민의 관심도 예전만 못하다. 한 언론사에서 역대 대학 수학능력시험 이과 전국 수석을 차지한 사람들의 근황을 조사한 결과 2000년 이후부터 대부분 의대로 진학했다. 과학자는 더 이상 선망의 직업이 아닌 것 같다. 이런 분위기에서 해외의 우수한 한국 인재가 국내로 재유입되는 걸 기대하기란 어렵다.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2년까지 과학계 박사급 인력이 1만2000여명 부족하다고 한다. 각국이 과학 인재 유치 전쟁을 하고 있는 지금, 우리의 현실은 절박하다. 애국심만을 강요하거나 단기적인 보상에 의존할 수 없다. 성과에 대한 부담감이나 복지, 자녀 교육에 대한 현실적 고민을 덜어줘야 한다.

아울러 과학자 또한 스스로 업무에 사명감과 자부심을 갖고, 서로 존중하며 시너지를 내는 조직 문화를 만들어야 한다. 최소한 선후배가 어울려 자아실현 욕구를 유감없이 즐겁게 펼칠 수 있는 일터가 더욱 많아지길 기대한다.

신용현 < 한국표준과학연구원장 yhshin@kriss.re.kr >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슈퍼개미]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