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시 연비-체감 연비 "달라도 너무 달라"
자동차 '연비 부풀리기'(뻥연비) 논란이 아직 끝나지 않은 모양이다. 최근 아우디코리아가 중형 세단 A6 3.0 TDI 모델(유로5 구형)의 연비를 부풀렸다는 의혹에 휩싸였다. 아우디가 직접 인증한 A6 공인 연비가 실제 연비보다 허용 오차범위(5%)를 초과해 국토교통부가 연비 부적합 판정을 내리고 과징금을 매긴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현대자동차 싼타페의 뻥연비 논란 이후로 정부의 연비 검증은 깐깐해지고 있다. 한경닷컴은 3회에 걸쳐 연비 논란이 끊이지 않은 배경과 앞으로 풀어야 할 과제를 짚어봤다. <편집자 주>
[자동차 연비 논쟁 (상)] 제조사-국토부, 연비 검증 줄다리기 '팽팽'
[자동차 연비 논쟁 (중)] 유럽-미국-한국 연비 측정방식 엿보니
[자동차 연비 논쟁 (하)] 연비검증 신뢰성을 높여라…남은 과제는?
[ 김정훈/김근희 기자 ] 30대 직장인 A씨는 최근 쉐보레의 중형세단 말리부(가솔린 2.0)를 구매했다. 500㎞ 주행했을 때 계기판에 실제 주행 연비는 약 9㎞/ℓ를 나타냈다. 제조사 표시 연비는 11.6㎞/ℓ지만 운전자가 느끼는 체감 연비는 여기에 못 미친다. 그는 "새 차를 뽑고 연비에 신경을 많이 쓰면서 타는 데도 출퇴근 때만 타서인지 공인 연비와 차이가 난다"고 아쉬워했다.
한국GM 말리부뿐 아니라 국내 판매되는 상당수 자동차의 실주행 연비는 공인 연비와 차이가 있다. 정속 주행이나 고속도로 주행을 하는 조건이 아니라면 유리창에 붙어 있는 연비 라벨을 맞추기 어렵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소비자들은 제조사의 연비 표기에 불신을 갖게 된다.
지난해 산업부와 국토부는 그동안 중복 조사와 조사결과 불일치 등 혼선을 막기 위해 국토부가 사후검증 하는 방안으로 일원화했다. 자동차 연비에 큰 영향을 미치는 주행저항값은 업체가 제시하는 것에서 국토부가 직접 확인하는 방식으로 달라졌다.
정부부처 간 개선안을 마련했더라도 여전히 의문은 남아있다. 사후검증은 국토부가 하지만 제조사의 자체 측정 연비 신고는 산업부가 맡는다. 통상 문제 등으로 연비 신고와 검증 과정에서 두 개의 부처가 일을 나눠하고 있는 것이다. 미국과 유럽의 경우 동일한 기관이 연비신고와 검증을 처리한다.
이호근 대덕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미국은 환경보호청(EPA) 1곳에서만 연비 신고, 검증은 물론 배출가스도 검사 한다"며 "우리나라 ?신고는 산업부, 사후검증은 국토부, 배출가스 검사는 환경부로 나뉜 기형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자동차는 공장에서 출고됐을 때와 일정 거리를 운행했을 때 연비의 격차를 보인다"며 "2개 이상의 공인기관에서 결과가 호환이 안 될 경우 신뢰성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시험 방법 역시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김필수 대림대 교수는 "비용이 좀 들더라도 검사 차량의 수(표본)를 늘려 정확도를 높여야 한다"며 "민간 전문가나 비영리 단체들도 검증 과정에 참관할 수 있게 해 신뢰성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경닷컴 김정훈 / 김근희 기자 lennon@hankyung.com
[한경스타워즈] 4개월만에 수익률 100% 기록한 투자 고수들의 열전!! (6/19일 마감)
[이슈] 30대 전업투자자 '20억원' 수익 낸 사연...그 비법을 들어봤더니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