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1인당 GDP 2만8000弗 '사상 최고'
2만弗시대 내년 졸업할 수도
美 긴축으로 환율 오르고 성장 정체 땐 어려워
가계소득 증가율 미미…'숫자의 향연' 그칠 수도
[ 김유미 / 마지혜 기자 ] ‘저환율 효과’가 1인당 국민총소득(GNI) 3만달러 시대를 앞당길 것인가. 한국은 기대에 못 미친 성장률 지속에도 이르면 내년에 국민소득 2만달러 시대를 졸업할 가능성이 적지 않다. 물론 가계가 체감하는 소득은 별개다. 내수가 살아나지 않는 이상 ‘착시 효과’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
○관건은 경상성장률
올해 한국은행의 경제성장률 전망치(연 3.5%)를 토대로 분석한 명목 국내총생산(GDP)은 1489조원. 올 한 해 국내에서 생산된 부가가치를 모두 더했을 때 1500조원에 달했다는 의미다. 전년(1428조원)보다는 4.2% 늘어난 수치다.
명목 GDP증가율(경상성장률) 4.2%는 최경환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목표로 삼은 6%에 크게 못 미친다. 명목GDP는 현재 시점의 가격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물가가 높을수록 커진다. 그런데 올해 물가상승분(1~3분기 GDP디플레이터 평균 0.68%)이 작아 경상성장률은 실질 성장률을 소폭 웃도는 데 불과할 전망이다.
다만 달러로 계산한 1인당 GDP 전망치는 8.0% 급증한 2만8047달러로 관측됐다. 올 들어 지난 26일까지 평균 환율(달러당 1052원74전)이 전년(1095원4전)보다 3.9% 내린 덕분이다. 국제적으로 비교 가능한 경제력 지표는 꽤 끌어올린 셈이다.
○3만달러 돌파 가능할까
저환율의 마법은 이에 그치지 않을 수 있다. GDP에서 해외에 있는 기업이나 국민이 벌어들인 부가가치를 더하면 GNI가 된다. 이를 인구로 나눈 1인당 국민소득은 국민의 실제 구매력에 가깝다.
환율 하락 덕분에 1인당 국민소득도 내년에 3만달러를 넘어설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오석태 소시에테제네랄증권 이코노미스트는 “국민소득은 환율 영향을 크게 받는데 내년에 원화가치가 오르면 3만달러 도달을 충분히 노려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박종규 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내년에 3만달러를 넘어서면 중진국들이 겪어온 ‘2만달러 함정’을 예상보다 빨리 빠져나오는 것”이라고 말했다. 1인당 국민소득은 2006년 2만달러를 넘어섰지만 2008년 금융위기로 정체돼 지난해엔 2만6205달러에 머물렀다. 내년에 3만달러를 달성하면 2만달러 졸업에 12년 걸린 싱가포르(1994~2006년), 네덜란드(1992~2004년)보다 빠르다.
○가계는 속 빈 강정일 수도
그렇다 하더라도 국민 개개인이 3만달러 시대를 체감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 가계, 기업, 정부 부문 소득을 다 합친 GNI에서 가계 비중이 계속 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가계 비중은 1975년 79.2%에 달했지만 2013년 61.2%까지 하락했다.
1997년 외환위기와 2008년 금융위기를 거치면서 가계소득 증가율이 기업을 따라잡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승훈 삼성증권 책임연구위원은 “2000년 이후 수출기업 중심으로 이익이 늘었지만 가계로 환류되는 부분은 상대적으로 적었다”며 “유가가 떨어져도 전셋값 등은 계속 올라 소비자의 실제 구매력은 낮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일부에선 3만달러 달성이 내년에도 어렵다고 관측한다. 환율 때문이다. 미국이 내년 중반 기준금리를 올리면 국내 금융시장에서 자금이 빠져나가면서 원화값이 내릴 수 있어서다. 여기에 유가 급락으로 내년 경상성장률도 4%대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다.
김유미/마지혜 기자 warmfront@hankyung.com
[한경+ 구독신청] [기사구매] [모바일앱]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