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92.05

  • 17.66
  • 0.64%
코스닥

842.12

  • 0.13
  • 0.02%
1/2

인문학·科技 교육 강화…'통섭형 인재' 키운다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인문학·科技 교육 강화…'통섭형 인재' 키운다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문·이과 통합 교과로 개편


[ 이승우/도병욱 기자 ] 앞으로 초·중·고교에서 문학이나 고전 등 인문 소양을 키울 수 있는 인문학 교육을 강화한다. 이공계 대학생도 인문학 교양 과목을 일정 학점 이상 이수해야 한다. 인문학을 중심으로 통섭형 인재를 키우는 방향으로 교육과정이 바뀐다.

대통령 직속 자문위원회인 문화융성위원회(위원장 김동호)는 6일 청와대에서 박근혜 대통령 주재로 제4차 회의를 열고 인문정신문화 고양을 위한 중장기 정책 방향을 이같이 보고했다. 인문정신문화 진흥을 통해 세월호 참사, 윤 일병 사건 등으로 드러난 인간 존엄성 경시 풍조를 바로잡겠다는 계획이다.

문화융성위 산하 인문정신문화특별위원회(위원장 유종호)가 주관해 마련한 정부의 중장기 정책 방향 보고서는 ‘인문정신을 시민의 지혜로’라는 기조 하에 인문정신문화진흥법 제정, 인문 기반 교육 도입, 관련 재원 확보 등의 내용을 담았다.

朴 "군대·학교 폭력 인문교육으로 해결"

인문특위의 제안을 바탕으로 교육부와 문화체육관광부는 △초·중등 인성교육 실현을 위한 인문정신 함양 교육 강화 △대학 교양교육에 인문학 강화 △인문학 연구 지원 △인문정신문화 체험 기회 확대 △인문정신문화와 콘텐츠 융복합 확대 △생애주기별 인문정신문화 프로그램 다양화 △인문정신문화 분야 국제교류 활성화 등 7대 중점 과제를 제시했다.

교육부는 문·이과 구분 없이 기초 소양을 배울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개정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내달 초·중·고 통합형 교과과정 개편 총론을 발표하고 내년 9월 구체적인 각론을 고시할 방침이다.

박근혜 대통령은 이날 회의를 주재하면서 “어려서부터 인성과 창의성이 길러질 수 있도록 인문교육을 강화해야 한다”며 “인문교육은 지금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군내 가혹행위와 학교에서의 왕따·폭력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한 근본적인 방안 중 하나”라고 덧붙였다.

이승우/도병욱 기자 leeswoo@hankyung.com



[한경+ 구독신청] [기사구매] [모바일앱]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