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22.67

  • 33.17
  • 1.23%
코스닥

866.18

  • 15.43
  • 1.81%
1/3

이건희 회장이 진단받은 급성 심근경색은…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이건희 회장이 진단받은 급성 심근경색은…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이 급성 심근경색으로 스텐트(stent) 삽입 시술을 받았다.

11일 삼성그룹 등에 따르면 이 회장은 자택에서 호흡곤란 증상으로 10일 밤 10시 56분 서울 한남동 자택 인근 순천향대학병원 응급실로 이동했다. 응급실 도착 직후 심장마비 증상을 보여 심폐소생술(CPR)을 받았다.

이날 새벽 0시15분 심장기능 상태가 호전돼 삼성서울병원으로 이송했다. 정밀검사 후 급성 심근경색으로 진단, 심장 혈관 확장술인 스텐트 삽입 시술을 받고 회복 중이다.

심근경색은 우리나라 돌연사의 가장 큰 원인이 되는 질환으로 갑자기 관상동맥(심장 혈관)이 막히고 심장에 산소와 영양 공급이 급격하게 줄어들어 심장 근육의 조직이나 세포가 죽는 상황을 말한다.

심근경색 환자들은 대부분 가슴이 아픈 증상(흉통)을 호소하고 그 통증이 팔로 뻗치기도 하며 호흡곤란이 함께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종종 흉통이 나타나기 전에 실신하는 경우도 있다.

심근경색은 무엇보다 얼마나 신속하게 치료가 이뤄지느냐가 생명을 살리는 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심근경색으로 진단을 받으면 혈전용해제를 투여하는 응급조치를 받고 막힌 혈관을 뚫어주는 시술을 받는다.

대표적인 시술로는 손목 또는 대퇴부 혈관에 삽입한 얇은 관을 이용해 막힌 혈관을 풍선으로 확장시키는 풍선확장술과 작은 금속관을 넣어 혈류가 통할 수 있도록 만들어 주는 스텐트 시술이 있다.

혈관이 막힌 상태를 2시간 이상 방치하면 심장 근육의 괴사가 진행돼 치료해도 효과가 떨어지며 예전과 같은 심장 기능을 찾기 어렵다.

따라서 일단 심한 가슴 통증이 생긴다면 빨리 가까운 병원을 찾는 게 중요하다. 특히 평소에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 심근경색을 일으킬 원인 질환을 앓고 있다면 가까운 응급병원을 파악해두는 게 도움이 된다.

이 회장이 순천향대학병원에서 받은 심폐소생술(CPR)은 일시적으로 심폐기능이 부전상태에 빠진 환자의 생명을 되살리는 매우 기본적인 응급의료 기술이다.

이미 선진 서구사회에서는 표준화된 심폐소생술이 일반에게 널리 보급돼 갈수록 급증하는 위급환자의 생명을 구하고 있다.

심폐소생술은 심장이 마비된 상태에서도 혈액을 순환시켜 뇌의 손상을 늦추고 심장이 마비상태에서 벗어나도록 하는데 결정적인 도움을 준다.

심장마비를 목격하자마자 즉시 심폐소생술을 효과적으로 시행하면 시행하지 않았을 때와 견줘 심장마비 환자를 구할 확률이 3배 이상 높아진다는 조사결과도 있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