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84.06

  • 7.99
  • 0.29%
코스닥

838.65

  • 3.47
  • 0.41%
1/3

차기전투기 F-35A 수의계약 유력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차기전투기 F-35A 수의계약 유력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국방부 22일 회의서 사실상 결정


[ 정성택 기자 ] 공군의 차기 전투기(F-X)가 스텔스 전투기인 미국 록히드마틴의 F-35A로 결정될 전망이다.

21일 군 당국에 따르면 국방부는 22일 합동참모회의를 열어 차기 전투기의 성능(ROC)을 결정한다. 공군은 레이더에 잘 잡히지 않는 스텔스 성능을 갖춘 전투기를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3차 F-X 사업에서 후보 기종인 미국 보잉의 F-15SE와 유럽항공방위우주산업(EADS)의 유로파이터 타이푼, F-35A 중 F-35A가 스텔스 성능이 가장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군 관계자는 “스텔스 성능과 관련해 F-35A 외에는 대상 기종이 없도록 조건을 만들어 합참에 요청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3차 F-X 사업은 사업비 규모가 8조3000억원으로 건국 이래 최대 무기 도입 사업이다. 군은 지난 9월 최종 기종을 결정하는 방위사업추진위원회에서 단일 후보인 보잉의 F-15SE를 부결시켰다.

최근 현대전에 맞고 세계 항공기술 추세에 뒤처지기 않기 위해서 스텔스 기능을 강화한 기종이 필요하다는 이유에서다.

합참의장과 육·해·공군 참모총장 등이 참여하는 합동참모회의에서 공군의 요청을 받아들이면 차기 전투기 후보 기종은 F-35A만 남기 때문에 수의계약이 불가피하다. 그러나 F-35A 단독으로 수의계약할 경우 국가계약법상 두 번 유찰해야 하기 때문에 전력 공백이 길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공군은 차기 전투기 전력화 시기로 2017~2021년, 구매 대수로 60대를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F-35A 60대 구매 가격이 8조3000억원을 훌쩍 넘을 것으로 예상돼 구매 대수가 40대 수준으로 줄어들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정성택 기자 naive@hankyung.com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