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50.35

  • 8.07
  • 0.29%
코스닥

862.84

  • 0.65
  • 0.08%
1/2

덴마크, 협동조합이 돼지고기 84% 유통…수출 경쟁력 강화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덴마크, 협동조합이 돼지고기 84% 유통…수출 경쟁력 강화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축산물 유통 구조는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등 축산물은 농산물보다 더 많은 유통단계를 거친다. 축산물은 ‘농가→수집 반출상(우시장, 농협)→도축장→1차 가공→2차 가공→도매상(대형 유통업체, 대형 정육점)→소매상’ 등의 단계를 거쳐 소비자의 손에 전달된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2011년 기준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의 유통비용은 각각 소비자 가격의 42.2%, 38.9%, 52.1%를 차지했다. 소고기의 경우 유통비용 가운데 37.6%를 뼈를 제거하는 데 드는 비용, 점포 임대료 등 도매상에서 소매상을 거쳐 소비자에게 판매되기까지 드는 부대비용이 차지했다.

우시장에서 도매상에 이르는 동안 들어가는 도축 운송비 등도 3.3% 비중을 차지했다. 6~7단계에 이르는 축산물 유통단계를 줄일 경우 소매가격을 지금보다 평균 8~10%가량 낮출 수 있을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농협은 축산물 유통단계를 줄이기 위해 축산농가와 도축·가공·판매조직 등을 한데 묶는 축산조직(패커·packer)을 협동조합 형태로 운영할 계획이다. 복잡한 축산물 유통단계를 ‘농가→패커→유통점’으로 단순화한다는 것이다. 패커를 통한 한우 판매 비중은 2020년까지 50%까지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패커 조직이 가장 활성화된 나라는 축산 선진국 덴마크다. 덴마크는 ‘데니시 크라운’을 비롯한 협동조합의 돼지고기 내수시장 점유율이 84%에 이른다. 덴마크는 이를 통해 축산물 유통비용을 크게 줄여 가격 및 품질 경쟁력을 확보하고 돼지고기의 85% 이상을 수출하고 있다.

▶급등주 자동 검색기 등장...열광하는 개미들
▶[한경 스타워즈] 대회 한 달만에 전체 수익 1억원 돌파! 비결은?


▶ "이효리 제주도에 신혼집 마련" 알아보니

▶ 이경규 '꼬꼬면' 눈물 흘린 이유가…

▶ 성폭행 아니라던 박시후, A양 얼굴 맞대고

▶ "야동 못 끊는 남편 어쩌죠" 女교수 대답이…

▶ 이경규 딸, 라면 CF서 '폭풍 미모` 뽐내더니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