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675.83

  • 39.31
  • 1.49%
코스닥

843.98

  • 4.00
  • 0.48%
1/3

[마켓인사이트] 일신문화재단, 느닷없이 일신방직 지분 4% 블록딜

관련종목

2024-06-03 10:06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마켓인사이트] 일신문화재단, 느닷없이 일신방직 지분 4% 블록딜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성실공익재단 제외돼 매각"…일부선 "경영권 승계 작업"


    <P target="_blank">마켓인사이트 2월8일 오전 7시7분

    국내 최대 면사업체인 유가증권시장 상장사 일신방직의 주요주주인 일신문화재단이 일신방직 주식 9만6000주(4%)를 시간외 대량매매(블록딜)로 처분했다. 일신문화재단이 ‘성실공익법인’에서 제외돼 지분을 줄였을 것으로 해석된다.

    8일 금융감독원 등에 따르면 일신문화재단은 일신방직 주식 9만6000주를 주당 8만1500원에 블록딜로 지난 5일 처분했다. 일신문화재단 지분은 종전 9%에서 5%로 줄었다. 일신문화재단 이사장은 김영호 일신방직 회장과 인척 관계인 석세일 인제의대 상계백병원 척추센터소장이 맡고 있다.

    일신방직 관계자는 “재단이 소유하고 있는 지분 중 일정량이 앞으로 문제가 될 소지가 있어 이번에 처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증권업계에서는 일신문화재단이 성실공익법인에서 제외돼 불가피하게 지분을 팔았을 것으로 보고 있다. 현행 상속세 및 증여세법상 기업집단 계열 공익재단은 계열사 기업 지분 5% 이상을 소유하지 못하게 돼 있다. 지배주주가 상속세를 회피할 목적으로 공익재단에 지분을 넘긴 뒤 우호세력으로 이사진을 편성해 기업 지배력을 유지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다.

    다만 ‘성실공익법인’으로 지정되면 계열사 기업 지분을 10%까지 가질 수 있다. 외부감사를 잘 받고 법인 소득의 80% 이상을 공익 목적에 사용하며 이사진 가운데 특수관계인 비율을 20% 이내로 제한하는 경우 등이다.

    일부에서는 경영권 승계 작업이 시작되는 것 아니냐는 추측도 나온다. 현재 일신방직의 1대주주는 김 회장(20.63%)이다. 조카인 김정수 사장과 김민수 상무가 각각 5.51%와 3.5%를 갖고 있다. 이들과 재단을 포함한 특수관계인 지분을 합치면 51.27%다. 증권업계에서는 김 회장이 경영권을 승계할 경우 김 사장이 유력한 대상일 것으로 보고 있다. 김 회장이 독신이라 자녀가 없기 때문이다.

    이해성 기자 ihs@hankyung.com




    ▶ 정가은, 출장마사지男 집으로 불러서는…파문

    ▶ 채리나, 김성수 전처 '살해' 재판 보더니…

    ▶ 의사에게 성폭행 당한 女 "기억이 잘…"

    ▶ 女아나운서 '신혼 아파트' 월세가 무려…

    ▶ 강호동 이제 바닥까지 떨어지나…왜 이래?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