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55.91

  • 48.76
  • 1.95%
코스닥

678.19

  • 16.20
  • 2.33%
1/3

‘구직자 공백기 7.5개월까지는 평가 불이익 없다’··· 취업 공백기, 기간보다 사유가 더 중요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취업 성공을 위해.(사진 제공=한경 DB)

[캠퍼스 잡앤조이=박신열 인턴기자] 심해지는 취업난에 구직자들의 공백기도 길어지는 추세다. 긴 공백기는 구직자들에게 큰 스트레스다. 그러나 반년이 조금 넘는 공백기는 취업과 크게 영향이 없었으며, 합당한 사유가 있을 경우에는 공백기에 대한 패널티를 극복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사람인이 기업 인사담당자 400명을 대상으로 ‘신입 채용 시 공백기간이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설문한 결과 51.3%가 ‘기간에 따라 영향이 다르다’고 답했다. 이어 ‘기간에 관계없이 영향을 미친다(29.8%)’, ‘영향이 없다(19.0%)’ 순이었다. 기간에 따라 영향이 다르다고 답한 기업들이 생각하는 평가에 영향이 없는 공백 기간은 평균 7.5개월이었다.

채용 평가 시 공백기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은 '공백 사유'에 대한 설명에 달려 있었다. 인사담당자들은 채용 평가 시 공백 기간과 공백 사유 중 당락에 더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공백 사유(41.5%)’를 선택했다. ‘둘 다 비슷하다’는 답변은 40.5%였으며 ‘공백 기간’은 18.0%에 그쳤다.

서류상에서 공백기를 참작할 수 있는 요소로는 ‘자격증 등 관심분야에 대한 공부(56.5%, 복수응답)’가 가장 많았고 ‘가족 간병 등 불가피한 개인사정(38.5%)’, ‘아르바이트 등 경제활동(34.5%)’, ‘석사, 유학 등 학업을 위한 준비(27.5%)’, ‘건강 문제로 인한 치료(22.0%)’가 뒤를 이었다.

면접에서도 인사담당자의 75.5%는 공백 사유를 확인하고 있었다. 면접 때 공백 사유에 대해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상황은 ‘특별한 이유 없이 공백기를 가졌을 때(57.6%, 복수응답)’가 1위로 꼽혔고 이어 ‘공백기, 공백 사유를 감추려 할 때(56.3%)’, ‘공백기의 활동 내용을 부풀릴 때(29.8%)’, ‘취업 목표를 자주 바꿨을 때(25.2%)’, ‘지원직무와 관계 없는 일을 했을 때(23.8%)’ 순이었다.

반면 공백 사유가 참작돼 평가에 불이익이 없는 경우는 ‘공백기에 대한 목표가 뚜렷했을 때(59.6%, 복수응답)’, ‘지원직무에 도움이 된 활동을 했을 때(49.7%)’, ‘구체적으로 이룬 성과가 있을 때(47.4%)’, ‘공백기에 대해 자신감 있게 얘기할 때(36.8%)’ 등이었다.

한편 공백 사유를 확인하는 인사담당자의 68.2%는 지원자 답변에 따라 해당 지원자 공백기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이 긍정적으로 변한 경험이 있다고 밝혔다. 

yeol0413@hankyung.com

< 저작권자(c) 캠퍼스 잡앤조이, 당사의 허락 없이 본 글과 사진의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