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점수 인플레에 실효성 의문…마이데이터 활용도 방법"
한국금융연구원 보고서…"필요성·범위 등 사회적 합의 선행돼야"
(서울=연합뉴스) 민선희 기자 = 최근 금융소비자의 신용점수가 전반적으로 높아지는 이른바 '신용 인플레이션'으로 신용점수의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는 가운데, 마이데이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면 신용점수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는 제언이 나왔다.
이대기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8일 '신용점수의 실효성 제고 방안'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신용점수 900점 이상인 고신용자 비중은 2020년 말부터 크게 늘어, 지난해 말 기준으로 주요 신용평가사 모두 40%를 웃돌았다.
KCB는 2020년 38.6%에서 2023년 43.4%로 높아졌으며, NICE도 같은 기간 40.8%에서 46.1%로 확대됐다.
금융산업 기술 발전으로 신용점수가 오르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지만, 최근 상향 쏠림 현상에는 금융 포용 정책도 일부 작용했다는 게 보고서의 분석이다.
구체적으로 2019년부터 금융 취약계층 보호를 위해 신용평가에 있어 연체 기록 등 부정적 정보의 활용기준이 강화됐고, 코로나19 발생 이후 2021년과 2024년 두 차례에 걸쳐 신용사면 정책도 시행됐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신용점수 상향 쏠림 탓에 신용점수가 높아도 은행으로부터 대출 승인을 거절당하는 현상이 보다 빈번해지고, 이는 신용점수에 대한 금융소비자 신뢰도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신용점수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방법으로 마이데이터 활용을 제시했다.
은행, 보험 영역 대출 정보에 국한됐던 신용정보와 달리 금융 마이데이터는 고객이 보유하고 있는 은행 수신, 증권, 보험, 개인형 퇴직연금(IRP), 카드 등 전체 금융자산 정보를 포괄한다.
다만 이 선임연구위원은 신용평가사들이 마이데이터를 신용점수 평가 요소로 충분히 활용하기는 다소 어려울 것으로 예상했다.
현재 마이데이터는 고객이 주기적으로 정보 제공에 동의한 경우에만 활용할 수 있는 데다, 은행 등 대형 금융사도 고객 금융자산과 거래 정보를 타 회사와 공유하기를 꺼릴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향후 신용점수 평가에 있어 마이데이터를 활용하려면 필요성, 범위, 비용 분담 등과 관련한 사회적 합의 도출이 선행돼야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ssu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좋아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