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55.91

  • 48.76
  • 1.95%
코스닥

678.19

  • 16.20
  • 2.33%
1/3

쌀 생산량 조사는 어떻게…통계청, 경북 상주서 시연회 개최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쌀 생산량 조사는 어떻게…통계청, 경북 상주서 시연회 개최
쌀 생산량 통계, 농업 정책의 기초 자료…쌀값 등에도 영향
통계청 조사원 3분의 1 참여…위성사진 등 최신 기술도 동원


(상주=연합뉴스) 박원희 기자 = 통계청은 매해 쌀이 얼마나 생산되는지 조사한다. 조사 결과는 정부의 식량 수급 계획과 농산물 가격 안정, 농업소득 추계 등 농업정책의 기반으로 활용된다.
특히 정부가 쌀을 얼마나 비축할지를 결정할 때 활용돼 쌀값에도 영향을 미친다. 이에 쌀 생산량 조사 결과의 정확성을 두고 종종 논란이 벌어지기도 한다.
지난 18일 통계청은 경북 상주시 함창읍 오사리에서 쌀 생산량 조사 시연회를 열었다. 조사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해 조사에 대한 신뢰성을 제고한다는 취지다.
벼가 익어 노란빛을 띠는 논에 깃발 두 개가 꽂혀 있었다. 시연회에서 벼를 벨 자리다. 쌀 생산량 조사의 기초 자료가 되는 표본 구역이다.

통계청은 전수 조사가 아닌 표본 조사로 진행한다. 전수 조사보다 빠르게 쌀 생산량을 조사해 정책 수립에 활용하려는 목적이다.
조사는 경작자가 수확하는 날짜에 맞춰 진행하는데, 통상 9월부터 개시한다. 올해는 약 6천600개의 표본 구역에서 조사가 진행된다.
통계청 본청에서 표본 필지를 각 지방청으로 내려보내면 각 사무소가 표본 필지의 적정성 여부를 판단한다. 적정하다고 판단된 경작지의 경우 경작자의 협조를 구해 조사를 시작한다.
표본 경작지에서 두렁과 두렁 사이가 가장 긴 지점들이 벼를 벨 후보 구역이다. 가장 긴 지점을 선택하는 이유는 최대한 무작위로 표본 포구를 선정하기 위해서다. 난수표(숫자를 무질서하게 배열한 표)를 활용해 후보 구역 중 두 곳을 표본 포구로 정한다.
이러한 과정이 지도 앱 등을 바탕으로 진행된다. 지도와 줄자로 진행됐던 과거보다 정확성이 더 높아졌다.

표본 포구가 정해지면 조사의 기초 자료가 될 표본 벼를 채취할 차례다. 깃발이 꽂힌 표본 기점을 중심으로 약 1평(3㎡) 정도 넓이에 있는 벼를 조사원들이 직접 베어낸다.
표본 포구 두 곳에서 채취한 벼들은 탈곡기로 간다. 베어낸 벼에서 낟알을 수거하는 작업이다. 트랙터로 벼를 수확하면서 동시에 낟알을 골라내는 요즘 탈곡기는 보기 드문 기계다.
낟알에서 쭉정이(껍질만 있고 알맹이가 들어있지 않은 곡식) 등 이물질도 걸러내야 한다. 이 작업에는 풍구라는 기계가 활용된다. 바람을 활용해 가벼운 쭉정이는 멀리 날려 보내고 그보다 무거운 낟알은 수거하는 방식이다.

수거된 낟알들은 수분 함양률이 15%가 되도록 건조된다. 수분 함양률 기준은 통상 시중에 유통되는 쌀 기준에 맞췄다. 현미를 얻어낸 뒤에도 수분 함양률을 측정해 기준에 벗어나는 경우, 이를 환산해 생산량에 반영한다.
건조된 낟알은 도정기에 넣어 껍질을 벗기고 현미를 채취한다.
현미를 걸러내는 작업도 필요하다. 1.6㎜ 이상이 되는 현미를 골라낸다. 이 역시 시중에 유통되는 쌀 기준에 맞춰서 쌀 생산량의 정확성을 높이려는 것이다.
이렇게 구한 1.6㎜ 이상 현미의 무게, 수분 함양률 등을 바탕으로 미리 정해진 계산식에 집어넣어 10a(아르: 100㎡)당 생산량을 구한다.

재배 면적 조사에는 위치기반시스템(GPS) 등이 활용된다.
조사원이 경작지 경계를 돌아다니면, GPS 기반으로 파악한 조사원 위치와 위성 사진상의 경작지를 비교해 보완하는 것이다.
과거 손으로 일일이 경지를 지도에 그린 다음 사무실로 가서 직접 시스템에 써넣는 방식보다 정확성을 높였다.
이렇게 구한 경지 재배면적과 10a당 생산량을 바탕으로 통계청은 쌀 생산량을 공표하게 된다.

통계청의 쌀 생산량 조사는 위성 사진, GPS 등이 최신 기술이 활용되지만 여전히 사람 손이 많이 간다.
통계청 직원은 연 5회 직접 현장을 찾아 경작지 작물을 조사한다. 최초에 어떤 작물이 심어졌는지, 이후 작물이 계속 심어졌는지, 다른 작물로 바뀌었는지 등을 직접 눈으로 보고 기록하는 작업이다.
벼를 수확하고 낟알을 골라낸 뒤 무게를 재는 작업도 사람 손을 거쳐야 한다.
그 결과 통계청의 쌀 생산량 조사는 통계청 조사 인력 700∼800명이 참여하는 대규모 조사다. 전체 조사원 2천400명의 3분의 1 정도가 참여하는 셈이다.
이형일 통계청장은 "데이터 하나를 만들기 위해 직원들이 얼마나 고생하는지 봐주셨으면 한다"고 말했다.
통계청의 쌀 생산량 조사는 이달 말까지 진행된다. 올해 전국 쌀 생산량 조사는 11월 14일에 발표한다.
encounter24@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