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46% "예산 부족이 AI 도입 장애 요인"
소프트웨어정책硏, 공공부문 AI 실태조사
(서울=연합뉴스) 임은진 기자 = 공공기관들이 인공지능(AI) 도입의 가장 큰 장애 요인으로 예산 부족을 꼽은 것으로 조사됐다.
29일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의 '공공부문 AI 활용현황 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AI를 도입했거나 도입 예정인 295개 공공기관 가운데 46.1%가 장애 요인(복수 응답)으로 예산 부족을 꼽았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8∼10월 진행됐다.
이어 역량을 갖춘 신규 인력 채용의 어려움(42.4%), 기존 직원의 역량 부족(30.5%), 내부 가용 데이터 부족(24.4%) 등이 뒤따랐다.
AI 도입 시 우려 사항으로는 가장 많은 32.9%가 'AI의 잘못된 의사결정'을 꼽았고, AI 실패로 인한 고객 신뢰 하락(21.7%), AI 시스템이 만든 의사결정 및 행동의 법칙(20.7%) 등의 순이었다.
이들 기관이 AI 기술을 도입하는 주된 방법으로는 외부 기업 또는 기관을 통한 위탁 개발(44.7%)이나 AI 설루션 구매 또는 구독(26.4%)으로 대부분이 외부에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로 응답 기관은 전문인력 부족(80.9%)을 가장 많이 꼽았고, 개발 관련 소프트웨어 부족(11.3%), 개발 관련 하드웨어 부족(2.0%) 등이 뒤따랐다.
활용하고 있거나 활용할 AI 기술(복수 응답)은 언어지능(48.8%)이 가장 많았고 이어 학습 및 추론, 지식표현(42.4%), 시각 지능(29.8%) 순이었다.
AI를 활용하는 공공서비스 분야는 챗봇이나 업무 자동화, 내부 데이터 분석 같은 기타 공공서비스(20.3%), 보건의료(8.5%), 일반행정(6.4%), 에너지·환경(5.4%), 기상·재난 안전(4.4%) 순이었다.
AI 도입 활성화에 가장 필요한 정책으로는 AI 인력양성(33.6%)이란 답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데이터 개방 등 AI 인프라 구축(25.1%), 규제 개선 및 규율체계 정립(11.9%)이 꼽혔다.
보고서는 "국내 공공부문 AI 활용을 촉진하기 위해 인재 양성, 데이터 개방 등 AI 인프라 구축 등을 위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engin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